美 언론 “2200달러 명품백, 韓 집권 여당 뒤흔들다”

  • 4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4년 1월 24일 (수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수민 정치평론가, 박원석 미래대연합 창준위 공동대표, 서정욱 변호사, 최병묵 정치평론가

[김종석 앵커]
저 주장에 대해서 시각차는 완전히 갈리겠죠. 다만 김수민 평론가님. 일단 YS, DJ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 때도 가족 문제는 납작 엎드려서 그래도 그나마 더 큰 여론의 압박을 막았다는 표현. 이것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김수민 정치평론가]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아들들의 문제가 확실히 불거져 있었고 수사 당국에서 수사도 들어가는 상황이었잖아요. 그러면 별 다툼의 여지없이 대통령이 즉각적으로 사과하고 인정하는 그것으로 어떻게 보면 대통령들 입장에서는 굉장한 곤혹을 일생일대의 불명예를 치른 것이지만 그 해결 방법 자체는 단순한 편이었습니다. 저는 김건희 영부인에 관련해서는 이것이 납작 엎드린다고 해결될 일인가 싶은 것이 아직까지 이제 특검에 대한 높은 찬성 여론도 보면 알겠지만 수사 자체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관련해서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것. 이것으로 굉장히 큰 문제고 사실 여기에 비하면 명품백 문제는 사소한 문제에 해당하거든요. 이런 것들이 다 배배 꼬여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것이 해결책을 찾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제2부속실의 설치를 대안으로 말씀하시는 분들 있지만 그것은 영부인으로서 공식 활동을 한다는 전제에서 필요한 것이고 국민 여론은 왜 활동하지? 이라고 하는 것이 다수 여론입니다. 지난 대선 때도 아내로서의 역할에만 충실하겠다고 약속을 했는데 그 약속도 깨졌고. 이런 상황에서 딱히 해결책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명백한 것은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국민들 앞에 나와서 이 논란에 대해서 해명할 것이나 반박할 것이 있으면 충실하게 하는 것. 이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단 1차적인 단계가 아닐까 싶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