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해상완충구역 무효화…사격훈련 재개

  • 5개월 전


[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적대행위 금지구역이 사실상 사라졌다”

우리 군이 남북 해상완충구역 사실상 무력화를 선언했습니다.

6년 전 9.19 남북군사합의에서 북방한계선 위아래로 적대행위 하지 말자며 합의한 구역이 있었는데요.

우리만 합의를 지키고 북한은 수시로 이 완충구역에 침범하며 훈련을 해 왔죠.

최근 사흘 연속 북한이 도발하자, 우리만 지키는 건 의미가 없다며 우리 군이 사실상 무력화를 선언하고 이 지역에서 훈련을 개시할 예정입니다.

첫 소식, 권갑구 기자입니다.

[기자]
국방부가 밝힌 핵심 내용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만들어진 지상과 해상 완충 구역의 무력화입니다.

[이성준 /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적대행위 중지구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 군도) 자체 계획에 따라서 사격 훈련을 실시할 것입니다."

2018년 남북은 9·19 군사합의를 맺으며 서해부터 동해까지 군사분계선과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적대행위 금지구역을 만들었습니다.

포 사격과 군사훈련 등으로 인한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후 우리 정부가 9·19 합의 일부 효력을 정지시키자 합의를 전면 폐기 시키고 최전방감시초소 복원, 판문점 무장화 등의 도발을 일삼아 왔습니다.

급기야 최근 사흘 연속 서해 해상 완충구역에서 집중 포 사격을 하자 우리 군도 초강수 맞대응에 나선 것입니다.

[이성준 /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은 3600여 회 9·19 군사합의를 위반했습니다."

우리 군도 북한 포 사격 첫 날 6년 5개월 만에 서북도서 해병 부대의 대응 사격을 실시 했는데, 앞으로 이런 훈련이 정례화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양욱 /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북한이) 위협을 실질적으로 높이고, 국민과 정부 간의 불안과 불신을 높이는 게 북한이 가고자 하는 방향입니다."

오늘 드론작전사령부를 방문한 신원식 국방장관은 북한의 무인기 도발이 다시 벌어질 경우 공세적으로 작전을 전개할 것이라며 북한을 압박했습니다.

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

영상편집 : 강민


권갑구 기자 nine@ichannel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