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 파업 철회…차질 없이 정상 운행

  • 7개월 전
경기도 버스 파업 철회…차질 없이 정상 운행

[앵커]

경기도 버스 노조가 사측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극적으로 합의에 성공하면서 예정됐던 파업을 철회했습니다.

파업 철회로 우려됐던 교통 대란도 피할 수 있게 됐습니다.

최진경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 버스 노사가 7시간 30분 넘는 긴 조정회의 끝에 극적 타결을 이뤘습니다.

당초 경기도 전체 버스의 89%인 9천500여 대가 파업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고됐지만, 협상이 타결되면서 버스가 멈춰설 위기를 모면했습니다.

협상장을 찾은 김동연 경기지사가 2027년까지 공공관리제 전면 시행을 확약하면서 합의의 물꼬를 텄습니다.

"타협과 양보를 통해서 합의로 만들어주신 데에 대해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노사는 준공영제노선 운수종사자와 민영제노선 운수종사자의 임금을 각각 4%와 4.5% 인상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민영제 노선 중 내년부터 운행이 시행되는 공공관리제 노선의 경우 별도 임금협정서 체결 전까지 공공버스 임금체계를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노조 측은 버스 기사들이 고질적인 저임금·장시간 근로에 시달리고 있다며, 제도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저희 근로자들도 하루하루 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런 거를 좀 해결해 주실 거라고 믿고요."

사업조합은 버스 업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준공영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지원을 부탁한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버스 업계가 참 어렵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준공영제를 훌륭히 완수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부탁드리면서…."

경기도에서 출발한 버스들이 오가는 서울 광화문의 버스정류장입니다. 시민들의 발걸음도 평소와 다를 바 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내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1천100여개 노선 6천200여 대의 일반 시내버스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방침입니다.

다만 예산 투입이 지체돼 공공관리제 전환에 차질이 빚어지면 노사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은 여전합니다.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highjean@yna.co.kr)

#경기버스 #파업철회 #극적타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