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66% 침수 피해 ‘무방비’

  • 11개월 전


[앵커]
올해 역시 역대급 장마가 예보되어 있습니다.

지난해엔 서울 강남 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이 물난리를 겪었습니다.

특히 반지하 주택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지난 1년간 물막이판 설치를 추진해 왔는데, 정작 설치율은 30%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여기에도 집주인, 세입자,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김민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여름 집중 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었던 서울 관악구 주택가.

반지하 가구 창문엔 빗물을 막는 물막이판이 설치됐습니다.

그런데 현장을 둘러보니 설치되지 않은 곳이 더 많습니다.

[신림동 상인]
"다음에 와서 (물막이판 설치)한다고 하는데 날짜는 정확히 얘기를 안 해주시던데."

지난해 8월 집중호우로 반지하에 살던 일가족 3명이 숨진 사고 이후, 서울시는 반지하 가구 전수조사와 함께 침수방지시설 설치 등 대책들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물막이판 설치 대상인 반지하 주택 1만 5천여 가구 중 지금껏 설치된 곳은 5천2백여 가구로 40%가 채 되지 않습니다.

피해가 컸던 관악구와 동작구 역시 절반 이상이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침수 방지시설을 설치하려면 집주인 신청과 동의가 필요한데 일부에서 집값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신청을 꺼린다는 겁니다.

물막이판 설치를 서두르는 것도 어렵습니다.

제조업체마다 주문이 폭주하는 탓에 공장을 완전 가동하고 있습니다.

[오달성 / 물막이판 제조업체 대표]
"물량 다 대 달라고 전화가 많이 폭주하니까요. (평소 업무량이)10이라고 하면 50 이상 하고 있죠."

그나마 설치돼도 제 역할을 하겠냐는 회의적인 반응도 적지 않습니다.

[이두표 / 서울 동작구]
"물이 쌓이잖아. 물이 어디로 빠져? 작년에 이렇게 이만큼 왔거든. 물막이 공사 이거 아무 필요 없어."

서울시는 적극적으로 집주인 동의 절차를 밟아 설치율을 끌어올리겠는 입장.

어느새 성큼 다가온 장마에 주민들 불안감은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

영상취재 : 최혁철
영상편집 : 이희정


김민환 기자 kmh@ichannel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