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이르면 오늘 발사…통신 오류 해결 관심

  • 작년
누리호 이르면 오늘 발사…통신 오류 해결 관심

[앵커]

어제(24일) 누리호 3차 발사가 전격 연기됐습니다.

연구진들은 밤새 해결에 나섰는데요.

발사관리위원회는 오전 중에 발사 여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임하경 기자.

[기자]

네, 저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누리호는 어제(24일) 기술적인 문제로 발사가 취소됐습니다.

발사 시각이 결정된 뒤 2시간 만에 일어난 일인데요.

그전까지 발사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됐기 때문에 성공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습니다.

발사 연기 소식이 전해진 뒤 나로우주센터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기도 했는데요.

연구진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밤샘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통신 관련 문제가 해결됐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라면 당장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추가된다면, 문제 해결에 수일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오늘(25일) 오전 중에 문제가 해결된다면, 오후에 발사가 다시 추진될 수 있습니다.

이때 발사 예정 시각은 기존처럼 오후 6시 24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만약 현재의 소프트웨어적인 요인이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문제까지 있을 경우엔 발사가 더 미뤄질 수 있는 건가요?

[기자]

네,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생길 경우엔 상황이 좀 복잡해집니다.

먼저 누리호에는 8개의 위성이 탑재돼 있는데요.

이 위성이 누리호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발사체 안에 위성이 있을 땐, 발사대 내부로 각 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깨끗한 공기가 공급돼야 합니다.

이를 위한 시스템은 24시간 가동 중인데요.

며칠은 버티더라도 무한정 길게 버틸 수는 없습니다.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충전이 필요하거든요.

일주일 정도는 기립한 상태로 충전이 가능하지만 그 시간을 넘어가면, 마찬가지로 버티기 어려워집니다.

당장 해결이 어려운 문제라면, 조립동으로의 이송이 불가피한데요.

이럴 경우 이송과 해체, 재이송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2차 발사 때도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에 문제가 생겨 누리호를 다시 조립동으로 이동했었는데요.

재발사까지 엿새가 걸렸습니다.

이처럼 문제는 당장 발사일을 정할 수 없다는 겁니다.

31일까지 예비일을 지정했지만, 기상 상황이나 우주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발사는 더 미뤄질 수 있습니다.

[앵커]

네, 그래도 추진제를 충전하기 전에 문제가 발견돼 일각에서는 다행이라는 얘기도 있는데요.

그건 왜 그런 건가요?

[기자]

네, 먼저 추진제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누리호가 계속 세워져 있다면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고요.

산화제의 경우 밸브를 열어두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지만, 연료의 경우는 직접 빼내는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고요.

자칫하면 화재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발사 10분 전부터는 자동 운용 시스템에 들어가는데요.

사람의 손을 떠나 자동 운용에 들어가면 아주 미세한 이상 신호에도 발사 절차가 자동으로 멈춥니다.

만약 이때 연료와 산화제가 다 충전된 상태라면 문제 해결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누리호 발사가 하루 미뤄지긴 했지만 빠르게 문제 해결이 된다면 당장 오늘(25일) 발사가 이뤄질 수도 있는데요.

우선 내부적인 분위기는 좋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연구진들은 발사에 대한 기대감을 버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나로우주센터에서 연합뉴스TV 임하경입니다. (limhakyung@yna.co.kr)

#누리호 #3차발사 #항우연 #과기정통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