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 확진자 나온 민노총…“방역 책임 떠넘기기”

  • 3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30~19:00)
■ 방송일 : 2021년 7월 19일 (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팀 차장, 김관옥 계명대 교수,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장예찬 시사평론가

[김종석 앵커]
7월 3일이었습니다. 8000여 명이 참석한 민노총 집회. 그런데 주말을 기점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세 명이 나와서. 물론 시차가 있으니까 여러 가지 해석들은 나올 수 있는데 실제로 장예찬 평론가님. 이거와 관련해서 정부가 늦장 조치를 취한 건 맞는 겁니까?

[장예찬 시사평론가]
늦장 조치를 했죠. 그리고 질병관리청 입장을 보면 집회를 통한 감염 가능성 높지 않지만 배제 못한다. 이거 저는 질병관리청의 입장인지, 민노총 대변인의 입장인지. 참 헷갈립니다. 8000여 명이 이 엄중한 시국에 모여서 7월 3일이면 어떤 상황이었느냐.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방역 이대로 안 되겠다, 위기가 느껴진다며 정부에서 거리두기 완화한다고 했는데 서울은 독자적으로 2주 더 연장했다고 한 이후입니다. 이미 서울과 수도권에서 제2의 집단 감염과 유행들이 번지는 징조가 충분히 보이고 있던 시기였어요. 그런데 800명도 아니고, 80명도 아니고, 8000여 명이 모였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잠복기나 여러 기타 상황을 고려해서 전수조사를 해야 되는 거 아닙니까. 이게 냉정하게 가슴에 손을 얹고 지난 8.15 광화문 집회나 또는 지금 차량 시위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경찰들이 다 도로를 차단하는 자영업자들의 자정 시위와 비교했을 때 정부의 방역 지침이나 여러 가지 사후 조치마저도 굉장히 느슨하게 적용된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아닌가요. 그런데 나온 질병관리청 입장마저도 민노총을 대변해주고 최대한 민노총의 책임을 덜 물어주려는 민노총 대변인스러운 질병관리청을 통해 보게 되니까. 희생하고 헌신하고 있는 많은 국민들이나 자영업자들은 얼마나 많은 박탈감을 느끼겠습니까.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정우식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