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 조사하겠다"…부모·현장 목소리는 외면

  • 5년 전

◀ 앵커 ▶

50대 아이돌보미가 14개월 아기를 폭행한 사건이 파장이 커지자,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해당 돌보미를 보낸 센터를 긴급 방문하고 국민들께 사과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정부 대응 방식이 문제를 키웠다는 비판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한수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14개월 난 아기를 석달 넘게 폭행한 장면이 공개된 후, 아이돌보미에 대한 불신과 분노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자격없는 자들을 마구잡이로 뽑아 정부가 학대를 조장하고 있다.

징역형에 처하고 다시는 돌보미 일을 못하게 해야 한다.

대체로 정부돌보미가 자격증도, 검증도 없이 채용된다는 데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해당 돌보미를 배정한 센터를 찾아 긴급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모든 가정에 대해서 이 문제(아동학대)들에 대한 다시 한 번 전수조사를 통해서, 혹여 놓치고 있을 사건들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하지만 정작 피해 아동 부모가 절실히 원했던 정책 두 가지는 모두 제외됐습니다.

[피해 아동 부모 (지난2일, 뉴스데스크)]
엄마: (채용시) 센터에서 기본적인 인성 검사…
아빠: 인성을 검사하는 게 힘들면 적어도 CCTV만이라도. 한달에 1-2만원이면 정부에서 지원해줘도 되는 게 아닌가…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강화한다는 대책 역시 벌써부터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이돌보미]
"(교육에) 민간 베이비 시터라든지, 어머니회 이런 데서 오셔서 강사를 하시면서, 틈틈이 '우리쪽(민간업체)에 와서 일할 생각 없느냐'고 하시는 분들이 강의를 하고 있는데…"

정부는 앞으로 제도 개선을 통해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부모들의 불안감을 잠재우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MBC뉴스 한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