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선언' 추진 통해 北 비핵화 동력 강화

  • 6년 전

◀ 앵커 ▶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문재인 대통령이 귀국하면서, 청와대는 이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준비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하면 남·북·미 3국이 참여하는 종전선언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임명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오늘(24일) 새벽 문재인 대통령의 귀국에 이어, 청와대는 오후에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열었습니다.

비슷한 시각, 문 대통령은 SNS에 '도보다리 풍경'을 묘사한 한 일간지 칼럼을 인용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에게도 보내주고 싶다는 심경을 밝혔습니다.

두 정상만이 알고 있을 도보다리에서의 대화를 김 위원장에게 상기시키면서, 앞으로 가야 할 북미회담과 비핵화 여정에서 '초심'을 잊지 말자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에 대한 체제보장 방안과 관련해선 우선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된, 남·북·미 3국의 종전선언 방안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도 부정적이지는 않았다고 청와대는 전했습니다.

[윤영찬/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미 3국이 함께 (종전을) 선언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종전선언 시점을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못 박은 건, 무엇보다 북미회담의 성공이 선결과제라는 인식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청와대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문제가 논의되지는 않았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 여부가 확실치 않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종전선언이 북한의 비핵화를 촉진하는 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따라서는 종전선언이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임명현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