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올해 수자원공사에 물값으로 예산의 4배가 넘는 2백억 원 정도를 내야 할 처진데요,
국보인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젖지 않도록 상수원인 댐 수위를 낮추도록 하면서 먹는 물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입니다.
김인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연댐을 포함해 댐 3곳이 바닥을 드러낼 정도로 울산의 먹는 물 부족 현상은 심각합니다.
문화재청이 지난 2014년 8월부터 반구대 암각화가 침수되지 않게 가변형 물막이 실험을 시작하면서 사연댐 수위를 낮추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7월 이 실험이 실패했는데도 문화재청이 그대로 두면서 사연댐 취수량이 턱없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채수 / 울산시 상수도 사업본부 급수부장 : 임시 물막이가 실패한 이후 수위조절을 취소하지 않고 계속 유지해 사연댐 취수는 전면 중단되고 있습니다.]
다음 달까지 울산시가 돈을 내고 먹어야 하는 낙동강 물은 5천만 t을 넘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예년의 4배가 넘고, 수자원공사에 내야 할 물값은 2백억 원이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울산시는 이런 농업용 저수지와 강물 등을 식수원으로 쓰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
바닷물을 쓰는 방법도 살펴봤지만 여의치가 않은 실정입니다.
울산시는 문화재청에 사연댐 수위를 낮추도록 한 조치를 풀어줄 것을 수차 요청했습니다.
공문을 4차례나 보내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돌아온 답변은 내년 말까지 또 연구 용역 하겠다는 말뿐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울산지역의 물 부족 사태는 반구대 암각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인철[kimic@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112913222502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국보인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젖지 않도록 상수원인 댐 수위를 낮추도록 하면서 먹는 물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입니다.
김인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연댐을 포함해 댐 3곳이 바닥을 드러낼 정도로 울산의 먹는 물 부족 현상은 심각합니다.
문화재청이 지난 2014년 8월부터 반구대 암각화가 침수되지 않게 가변형 물막이 실험을 시작하면서 사연댐 수위를 낮추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7월 이 실험이 실패했는데도 문화재청이 그대로 두면서 사연댐 취수량이 턱없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채수 / 울산시 상수도 사업본부 급수부장 : 임시 물막이가 실패한 이후 수위조절을 취소하지 않고 계속 유지해 사연댐 취수는 전면 중단되고 있습니다.]
다음 달까지 울산시가 돈을 내고 먹어야 하는 낙동강 물은 5천만 t을 넘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예년의 4배가 넘고, 수자원공사에 내야 할 물값은 2백억 원이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울산시는 이런 농업용 저수지와 강물 등을 식수원으로 쓰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
바닷물을 쓰는 방법도 살펴봤지만 여의치가 않은 실정입니다.
울산시는 문화재청에 사연댐 수위를 낮추도록 한 조치를 풀어줄 것을 수차 요청했습니다.
공문을 4차례나 보내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돌아온 답변은 내년 말까지 또 연구 용역 하겠다는 말뿐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울산지역의 물 부족 사태는 반구대 암각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인철[kimic@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112913222502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