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6일 전

카테고리

📚
학습
트랜스크립트
00:00안녕하세요. 저는 에너지환경대학원 전용석 교수님 연구실에서 맥신을 이용한 커페스터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조은입니다.
00:10이번 발표에서는 맥신의 기본적인 특성과 장단점, 그리고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전략과 제 연구에 대해서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00:20이번 발표의 목차입니다.
00:22먼저, 맥신이란 무엇인지, 어떠한 분야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제 주요 연구 분야인 에너지 저장장치 소자로서의 맥신의 장단점과
00:34그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먼저 말하고, 제 연구에 관한 내용, 그리고 관련 논문들에 대해서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00:44맥신은 2011년 미국 드렉셀 유니버스리의 요리 고고치 교수 연구팀에 의해 처음 보고된 2차원 전위금속 카바이드 및 나이트라이드 계열의 물질입니다.
00:59그래핀처럼 얇은 2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래핀과는 달리 금속 특유의 높은 전도성과 풍부한 표면 화학적 다양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금속형 그래핀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01:12맥신은 일반적으로 TI3C2TX, MB2C, MO2TIC2, TA4C3TX 등 다양한 조성을 가지며, 모두 맥스페이지라 불리는 3차원 전구체에서 주로 알루미늄을 제거하여 합성됩니다.
01:30이 과정에서 O, OH, F와 같은 표면 종결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친수성이 높고 표면 계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01:44이러한 구조적 화학적 특성 덕분에 맥신은 현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01:54대표적으로 에너지 저장 소자, 즉 2차전지와 슈퍼커페시터의 전극 소재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02:01그 밖에도 전도성 맥크, 전자파 차폐 소재, 총매 지지체, 수처리용 멘브레인, 바이오센서 등으로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02:12예를 들어, TI3-C2-TX 맥시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넓은 표면적을 바탕으로 빠른 전화 이동이 가능하여 고출력 슈퍼커페시터 전극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02:27MB2C 맥시는 빠른 이온 확산과 높은 산화 안정성으로 인해 리튬 이온이나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응급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02:36또한, MO2-Ti-C2 맥시는 금속 원자 치환을 통해 활성 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 수전의 총매나 전기화학적 총매 분야에도 응용이 가능합니다.
02:50이처럼 맥시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02:53먼저, 탁월한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02:58전이금속 기반의 결정격자 구조 덕분에 금속성 전도특성을 보이며, 전화 이동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03:08두번째로, 우수한 이온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03:12층상 구조 내부의 빈 공간과 표면의 종결기들이 이온과 강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전화 저장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03:20세번째로, 표면 기능화가 용이합니다.
03:26O, OH, F와 같은 종결기를 활용하면 다양한 화학적 결합과 개질이 가능하여 전극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03:36마지막으로, 높은 친수성을 가지고 있어 수용의 기반 합성이나 수혈 합성에 유리하며, 다른 고분자나 나노 소재와 복합화가 용이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03:47하지만 맥신은 동시에 몇가지 한계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03:53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위스테킹 현상, 즉, 방리된 맥신 시트들이 다시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있습니다.
04:02이 현상이 일어나면 층간 간격이 좁아지고, 전해질 이온의 확산 통로가 막히면서, 실제로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표면적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04:13또 다른 문제는 산화 불안정성입니다.
04:18맥신은 공기 중이나 수용액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쉽게 산화되어 TI-O2나 다른 산화물로 편질되며, 그 결과 전기전도도와 전기화학적 성능이 저하됩니다.
04:31이러한 문제점들은 맥신의 실용화를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04:39이제부터는 맥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 전략들을 자세히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04:49크게 도핑, 표면 개질, 층간거리 제어, 그리고 복합체 합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04:57먼저 도핑입니다.
04:59도핑은 맥신의 전위금속층에 다른 원소를 치환하거나, 비금속 원자를 삽입하여 전자구조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05:07예를 들어, 질소 도핑은 전자 밀도를 높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고, 황 도핑은 활성 사이트를 증가시켜 반응성을 개선합니다.
05:20이러한 이종 원소 도핑은 맥신의 전자구조를 미세하게 바꾸어, 이온 흡착 친화도 증가, 총매 활성 부위 형성, 전도성 향상과 같은 효과를 가져옵니다.
05:31두 번째는 표면 개질 전략입니다.
05:37이는 맥신 표면의 종결기를 화학적으로 조절하여 산화 안정성을 높이거나, 전해질과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05:45예를 들어, 폴리도파민이나 Self-Assembled Monolayer, 즉, 쌈소재를 이용한 코팅은 맥신의 산화를 방지하면서도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05:59또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나 고분자 재료를 표면에 결합시켜서, 개면 안정성과 기계적 내교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06:07이러한 표면 개질은 맥신의 취약한 산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보완하는 핵심적인 접근 방법입니다.
06:18세 번째 전략은 층간거리 제어입니다.
06:21맥신의 층간거리, 즉 디스페이싱은 XRD의 002 피크를 통해 확인되며, 이는 전해질 이온이 들어올 수 있는 실제 통로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06:31이 간격이 너무 좁으면 이온 확산 저항이 커지고, 반대로 너무 넓으면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층간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06:46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06:48예를 들어, 리튬이온, 소주이온, 칼슘이온 등의 이온성 물질을 층간에 삽입하거나, 시트리게시드나 우레아, 딤소 등의 유기분자를 삽입하여 간격을 인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07:04또한, 퀀텀닷이나 카본 나노 튜브를 삽입하여 기계적 간격 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위스테킹을 방지하면서 이온 확산 경로를 동시에 확보하기도 합니다.
07:19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구조적 간격을 늘리는 것을 넘어 전화 이동 효율과 전극의 반응성을 동시에 높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07:28마지막으로 네번째 전략은 복합체 합성입니다.
07:36맥신을 다른 나노 소재와 결합하여 복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도성, 안정성, 그리고 구조적 견고함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07:47예를 들어, 맥신 카본 나노 튜브 복합체는 전도와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빠른 전화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07:55맥신 그레핀컨텀닷 복합체는 그레핀컨텀닷이 층간 지지대의 역할을 하며, 위스테킹을 억제하고 활성 표면적을 늘려줍니다.
08:06또한 맥신 고분자 복합체는 유연성과 이온 전달 능력을 함께 향상시켜,
08:13플렉서블 슈퍼커파스터나 웨어러블 전자소자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08:17이상의 전략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08:23실제 연구에서는 여러 전략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08:29예를 들어, 표면 개질과 층간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여 산화 안정성과 이온 확산을 함께 개선하거나,
08:36도핑된 맥신을 기반으로 복합체를 형성하여 전기화학적 성능을 극도하기도 합니다.
08:43정리하자면, 맥신은 본질적으로 금속적 전도성, 이온 친화성, 표면 개질 가능성이라는 장점을 갖춘 소재이지만,
08:52이를 실제 응용 단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층간 구조 제어와 개면 안정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입니다.
09:00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는 단순히 소재 합성을 넘어서 원자 수준에서의 구조 제어와 정밀한 개면 공학을 통해,
09:09맥신 기반 전극의 고에너지 밀도, 고출력, 장기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09:18제 연구에 대해서 설명드리기에 앞서서, 제 연구가 맥신의 인터레이얼 스페이싱을 조절하는 연구이다 보니,
09:26먼저 간단히 인터레이얼 스페이싱의 정의부터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09:32맥신은 여러 개의 얇은 시트가 층상으로 쌓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09:37이때, XRD에서 관찰되는 002 피크를 통해 측정되는 D스페이싱은
09:43전체 층 중심 간 거리, 즉 한 층에서 다음 층까지의 전체 간격을 의미합니다.
09:50하지만 실제로 이온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이보다 작습니다.
09:54그래서 인터레이얼 스페이싱이란, 이 D스페이싱 값에서 맥신 한 층의 실제 두께를 뺀 값,
10:02즉 이온이나 전구체가 실제로 삽입될 수 있는 유효한 층간 공간을 뜻합니다.
10:09이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맥신의 전기화학적 성능이 이 층간 공간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10:17이온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지, 얼마나 많이 저장될 수 있는지,
10:21또 구조가 총방정 과정에서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가 모두 인터레이얼 스페이싱에 의해 결정됩니다.
10:30이제 이 개념을 바탕으로 왜 제 연구가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는지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36현재까지 맥신 기반 에너지 저장 소자 연구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10:46앞서 언급했다시피 여전히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존재합니다.
10:52첫 번째는 리스테킹, 즉 맥신 시트들이 서로 다시 달라붙는 현상입니다.
10:56이로 인해 층간 통로가 막히고 이온의 이동이 느려지며 실제 전극 내부의 활성 표면적이 크게 줄어듭니다.
11:05두 번째는 산화 안정성 저하입니다.
11:09공기나 전해질 환경에서 시간이 지나면 맥신이 산화되어,
11:13TIO2나 다른 산화물로 변하며 전도성과 반응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11:18이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연구자들은 인털레이얼 스페이싱 제어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11:29예를 들어 리튬 플러스, 나트륨이온, 칼륨이온과 같은 이온성 물질을 인터컬레이션 시키거나,
11:37시트릭 이시드, 우레아, 김소와 같은 유기분자들을 인터컬레이션 시켜서 층간 간격을 넓히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1:46또 다른 접근으로는 카본 나노튜브와 같은 나노입자를 필랄처럼 층 사이에 넣어 간격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12:00하지만 기존 연구들의 한계는 층간 간격을 단순히 넓히는 데만 초점을 맞췄다는 점입니다.
12:07너무 낡으면 전나 전달 경로가 길어지고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며,
12:12너무 좁으면 이온 확산이 제한되어 충방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12:18따라서 핵심은 간격을 단순히 키우는 것이 아니라 적정한 층간 구조를 정밀하게 설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12:27이러한 맥락에서 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2:30저는 맥신의 인털레이얼 스페이싱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2:43이를 위해 퀀텀닷을 맥신의 층간에 인시츠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도입하였습니다.
12:49이 방법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2:54첫째, 층간 간격을 확장시키면서도 시트 간의 물리적 결합을 유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입니다.
13:03둘째로, 퀀텀닷이 전기전도성 필러 역할을 하며,
13:07전화 이동 경로를 확장시켜서 고속충방전 특성을 개선합니다.
13:13구체적으로 제 실험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13:20시트릭 에시드와 우레아를 전구체로 사용하여 수혈업성 단계에서 맥신층 사이로 침투시킨 후에,
13:272차 수혈 과정에서 이들이 열 분해되어 그래픽 컨텀닷으로 변환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13:34이 과정을 통해 맥신층간에서 직접 그래픽 컨텀닷이 인시츠로 성장하게 됩니다.
13:40이 방식의 장점은, 외부에서 컨텀닷을 따로 합성하여 물리적으로 섞는 것보다 훨씬 강한 계면 결합을 얻을 수 있으며,
13:50층간에 직접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3:54층간에 존재하는 컨텀닷이 리스테킹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며,
13:59이온의 직선 확산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4:04이 연구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는 인터레이얼 스페이싱을 단순한 간격이 아닌 하나의 기능성 구조로 설계하자는 것입니다.
14:15즉, 층 사이에 단순히 빈 공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14:19그 공간에 전도성, 반응성, 안정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구조적 모듈을 삽입하는 개념입니다.
14:26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맥신의 약점을 보완하면서도 고속충방정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안정성, 고출력 정극 구조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4:41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기대효과를 간략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4:44첫째로, 맥신의 리스태킹 문제를 근본적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14:51층간에 형성된 퀀텀닷 네트워크가 시트를 물리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 붕괴가 억제됩니다.
14:58또한, 이온 확산 속도와 전자 던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5:04퀀텀닷은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경로를 제공하고,
15:08층간 간격이 균일하게 확정되어 이온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끔 합니다.
15:12마지막으로, 장기 사이클 안정성이 크게 개선됩니다.
15:19퀀텀닷이 계면 안정화 역할을 하면서 산화나 변형을 완화하기 때문입니다.
15:26이러한 접근은 단순히 맥신 한 종류에 국한되지 않고,
15:30TA4C3TX, MB2C, MO2TI32 등 다양한 맥신 계열로 확장 가능한 범용적 방법론으로 기대됩니다.
15:40요약하자면, 이번 연구의 핵심은 맥신의 인털레이어를 제어 가능한 구조적 변수로 바라보고,
15:49그 내부의 전도성 필라인 퀀텀닷을 직접 성장시켜,
15:53이온 수송성, 구조 안정성, 전도성과 용량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15:59이를 통해 맥신 기반 전국의 한계를 극복하고,
16:04차세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16:10이제부터는 맥신과 퀀텀닷을 결합한 최근의 대표적인 연구 사례들을 간단히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6:23이 부분은 맥신의 층간 구조를 제어하고,
16:26전기화학적 성능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복합화 전략들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들입니다.
16:32먼저 소개해드릴 연구는 Nitrogen Scraping Quantum Dot을 이용한 TA4C3TX 맥신 복합체 연구입니다.
16:43이 연구에서는 NGQD가 맥신 시트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하면서,
16:49일종의 기둥, 즉 필라 역할을 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16:53이 구조는 단순히 두 재료를 섞는 것이 아니라,
16:56층간 간격을 확장시키면서 동시에 구조적 지지대 역할을 하여 리스택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습니다.
17:05또한 질소 도핑을 통하여 Quantum Dot의 전자 밀도를 높여,
17:10전기 전도성과 반응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7:15그 결과 최적 조성인 복합체는 높은 정전 용량을 기록하였으며,
17:212만 회 사이클 이후에도 86% 이상의 용량 유지율을 보였습니다.
17:26즉, 이 연구는 도핑과 인털레일 스페이싱 개선 효과를 결합한 복합적 전략을 통하여,
17:34맥신의 전극의 장기 안정성과 고속 충방전 특성을 동시에 개선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45두 번째로는 MOS2 Quantum Dot Decorated TI3C2 TX 맥신 연구입니다.
17:52이 연구의 특징은 Quantum Dot을 인시추로 성장시켰다는 데에 있습니다.
17:59즉, 몰리브덴과 황전구체를 맥신 수용액에 직접 혼합한 뒤,
18:04200도에서 6시간 동안 수혈 합성을 진행하여,
18:08MOS2 Quantum Dot이 맥신 층 위 또는 층간에서 직접 성장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18:13이 접근법은 외부에서 Quantum Dot을 따로 합성해 첨가하는 것보다,
18:20맥신과 Quantum Dot 간의 개명 결합을 훨씬 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18:26실제로 논문에서 XRD 분석 결과,
18:29002 피크가 8.97도에서 6.4도로 이동하며,
18:33층간거리, 즉 인털레일 스페이싱의 확장이 확인되었습니다.
18:36그 결과, 맥신 시트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이온 확산 경로가 확보되고,
18:44MOS2 Quantum Dot과 맥신 간의 강한 개명 결합으로
18:48전극 안정성과 반응성이 동시에 향상되었습니다.
18:52이 연구는 Quantum Dot의 인시추 성장 전략을 통해
19:00층간 간격 조절과 개명 결합 강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19:04하나의 합성 과정에서 동시에 달성한 좋은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11앞선 두 연구는 서로 다른 접근을 취하고 있지만,
19:14공통적으로 맥신의 인털레일 구조를 활성화 구조로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19:20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19:22NGQD TA4C3TX 복합체는 전도성 필라를 이용해
19:28구조적 안정화와 도핑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였으며,
19:32MOS2 Quantum Dot TI3C2TX 복합체는
19:35인시추 개명 성장으로 구조적 일체와 관격 확장을 실현하였습니다.
19:43즉, 두 연구 모두 단순히 Quantum Dot을 첨가하는 데에 넘어
19:48맥신 내부의 층간 구조를 설계 가능한 기능성 공간으로
19:52변환시키는 구조공학적 접근을 취했습니다.
19:56이러한 흐름은 지금 현재 맥신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20:02결국 이온 확산 경로 확보, 전화 전달 효율 향상,
20:06구조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10정리하자면, 최근의 맥신 Quantum Dot 복합체 연구들은
20:14단순한 혼합이 아니라 층간을 설계하고 계면을 강화하며
20:19전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접근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20:25이러한 전략은 맥신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20:29향후 고성능 슈퍼커피시터나 배터리 전극 개발에 중요한 설계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37이상으로 제 발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

45:38
다음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