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저께
우유, 멸치 등 칼슘 풍부한 음식은 뼈 건강에 도움!
뼛속으로 흡수돼야 하는 칼슘
칼슘 흡수를 방해하는 음식은?
#아이엠닥터 #오정연 #이한위 #김지선
베테랑 건강 박사들이 들려주는
실화 바탕 특강쇼&특급 솔루션!
[아이엠닥터]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30분 방송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칼슘을 많이 먹으면 뼈 건강에 도움이 될까요?
00:05아무래도 되지 않을까요?
00:07정답 아닐까요?
00:09그런데 이제 먹으면 좋은 거잖아요, 어쨌든.
00:11그렇죠.
00:12칼슘하면 뭐.
00:13좀 예방이 될 것 같아요.
00:14그렇지.
00:15그리고 우리 몸은 그런 거 있잖아요.
00:17좀 많이 먹으면.
00:18아유, 뭐 이렇게 많이 드셨대.
00:20그리고 이제 웬만한 거 이렇게 배출을 하는 거지.
00:23쌓아두지 않고.
00:27아, 오예요?
00:28네.
00:29모두 옵니다.
00:30네.
00:31정답은 세모로 하겠습니다.
00:34그 이유는요.
00:35물론 칼슘이 풍부한 우유나 멸치 같은 것을 많이 드시는 것은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00:42하지만 중요한 것은 칼슘도 얼마나 흡수가 잘 되는지가 중요해요.
00:47우리가 아무리 많이 먹어도 이게 충분히 흡수가 되지 않고 다 배출이 된다면 소용이 없겠죠.
00:53그렇죠.
00:54우리가 칼슘을 먹었을 때 뼈 속에 칼슘이 들어가야 돼요.
00:59그 과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뼈 속에는 칼슘이 들어가지 않으니까 뼈는 약해지고요.
01:05그 남아 도는 칼슘이 피 속에 둥둥 떠다니다가 혈관 속에서 지들끼리 뭉쳐요.
01:11그러면 석회화가 되고 돌덩이가 생기는 겁니다.
01:15그런 석회화 덩어리가 심장 혈관을 막는다?
01:20그러면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 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겁니다.
01:24이야 그러니까 먹어봤자 말짱 도루묵이 되는 거가 되네요.
01:28오히려 더 위험할 수도 있다는 거죠.
01:30그러니까 석회화까지 발생할 수 있다.
01:32그러면 잘 흡수가 안 되는 이유가 있는 거예요?
01:36네, 의외로 건강식처럼 보이는데 칼슘 흡수율을 떨어뜨리는 뼈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도 있습니다.
01:43아,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01:46그렇죠.
01:47뭐가 있을까요?
01:48이번에는 제가 밸런스 퀴즈로 준비를 했는데요.
01:51좋습니다.
01:52시금치 된장국, 소고기 구이.
01:55둘 중에 뼈 건강에 더 안 좋은 음식은 뭘까요?
01:59저는 소고기 구이.
02:02시금치는 원래 약간 막 신난다 이렇게 많이 얘기했잖아요.
02:07칼슘도 많잖아요, 시금치.
02:09뽀빠이.
02:10저는 시금치 된장국.
02:13왜요?
02:14짜죠.
02:15이게 나트륨이 칼슘에 뭔가 섬치를 방해할 것 같아요.
02:21근데 우리가 일반적으로는 어쨌든 고기를 먹으면 좋을 것 같잖아요.
02:26그렇죠.
02:27그래서 저는 고기로 하고 싶은데 되게 이런 문제들은 또 함정이 좀 있더라고요.
02:32자, 그럼 소고기 구이에 손 들어보세요.
02:34소고기 구이 더 안 좋을 것 같다.
02:36저는 시금치 된장국.
02:38정답은요?
02:39안 좋을 것 같다는 건 시금치 된장국.
02:41정답은 시금치 된장국입니다.
02:44오.
02:45네?
02:46소고기는 좋을 것 같다.
02:47두 분이 정답 맞히신 걸로 할게요.
02:49네.
02:50근데 왜?
02:51왜요?
02:52시금치는 우리가 말씀하신 것처럼 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죠.
02:57철분과 칼슘 함량이 높기 때문인데요.
03:00네.
03:01뿐만 아니라 시금치 안에는 옥살산이라는 것도 많이 들어 있어요.
03:05옥살산?
03:06맞아요.
03:07이 옥살산은 칼슘과 결합을 해서 칼슘을 몸 밖으로 배출해 버리기 때문에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요소가 됩니다.
03:16아니 그럼 뭐 창과 방패 싸움을 혼자 다 하고.
03:19그게 동시에 많이 들어가는 거죠.
03:21그러니까 많이 흡수가 안 되는 겁니다.
03:23네.
03:24된장국으로 우리가 섭취를 했을 때는 국물 속에 나트륨도 많이 묻기 때문에.
03:30빠졌어.
03:31그러니까 지금까지 살면서 방송을 헛으로 들으면 안 되는 거야.
03:36주워들어가지고.
03:37어딘가에 축적이 돼 있는 거예요.
03:40헛되진 않았네요.
03:42반면 동물성 식품인 소고기에는 이런 옥살산이 거의 없고요.
03:47철분과 단백질 그리고 오스테오칼신의 활성을 도와주는 성분이 아주 풍부해서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겁니다.
03:55잠깐 지금 뭐였죠?
03:57오스테오칼신.
03:59이 이름이 너무 어려운데 그게 뭐예요?
04:02네.
04:03오스테오칼신은 골 강도와 관련된 아주 중요한 호르몬 중에 하나예요.
04:07오스테오는 뼈라는 뜻이고요.
04:10칼신은 칼슘을 인 안에다가 넣는다.
04:14칼슘.
04:15라고 기억하면 쉽죠.
04:17그래서 칼슘을 뼈 안에다가 집어넣는 호르몬이다라고 아시면 돼요.
04:23그래서 오스테오칼신이 높으면 칼슘이 뼈 안에 잘 저장되니까 골이 튼튼해지는 거고요.
04:31반대로 오스테오칼신이 부족하면 칼슘이 뼈에 저장이 잘 안 되니까 혈관에 떠다니다가 혈관에서 침착되기도 하고 그래서 혈관에 석회화를 일으키고 심혈관 질환까지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
04:46그러니까 정리를 해보자면 뼈 건강을 위해서는 골 밀도와 골 강도까지 잘 따져봐야 하고 골 강도를 높여주는 오스테오칼신을 잘 지켜야 된다. 이 말씀이시군요.
05:01이제 잘 먹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으니까 이제는 잘 먹기만 하는 게 아니라 미리 예방하고 잘 관리하는 방법 혹시 있나요?
05:10네.
05:11아주 중요한 골다공증 예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5:14네.
05:15네.
05:16바로 중력에 저항하라 입니다.
05:19네?
05:20우리가 지구를 떠나야 됩니다.
05:22우주로 가야 되는데.
05:23돈 많이 벌어야겠네요.
05:25네.
05:26우주에 가면 중력이 없잖아요.
05:29네.
05:30그러면 우리 뼈는 급속도로 골 밀도가 확 떨어집니다.
05:34우주로 떠나면 안 되는구나.
05:36뼈 건강을 위해서는 중력이 필요해요.
05:40지구가 끌어당기는 이 힘에 우리가 저항을 해서 자꾸 이렇게 딛고 밟아줘야 이게 자극이 돼서 새로운 뼈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겁니다.
05:51반대로 우리가 하루 종일 누워만 있거나 운동을 많이 하지 않으면 뼈가 내가 더 이상 필요가 없구나 라고 생각해서 새로운 뼈를 만들어내질 않아요.
06:04그런 생각을.
06:06그래서 우리가 이 뼈를 자극하기 위해서 빠르게 걷기나 줄넘기 또 계단 오르기 같은 운동을 가능한 매일매일 하루에 30분 이상 꾸준히 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06:18오늘 강연에서 해주신 말씀 잘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06:23네.
06:24생생한 고품격 특강 들려주신 김범수 교수님 감사합니다.
06:28고맙습니다.
06:29고맙습니다.
추천
0:31
|
다음 순서
2:34
1:22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