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5일 전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비용
1,400억 달러
한화로는 185조 원!

재미있는 건썰을 맘껏 풀어내는
본격 국내 최초 건썰 토크쇼 [건썰의 시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규모부터가 남다릅니다.
00:02천문학적인 건설 비용과
00:04최종단 기술력과
00:06인간의, 인류의 꿈이 결집된 초대형 프로젝트
00:10우리 우주의 시대로 함께 가보겠습니다.
00:17난 진짜 볼 때마다
00:19볼 때마다 경이롭고 인간이 만든 거 맞나 싶어요, 진짜.
00:23저게 우주에 있다는 게 느껴지세요, 진짜로?
00:26인류 역사상 가장 비싼 시설물은 지구에 없다는 거
00:31혹시 아시죠?
00:32시설물 제일 비싼 게 지구에 없다고요?
00:35지구에 없으면 우주에 있다는 이야기니까
00:37그럼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건 우주정거장
00:38우주정거장밖에 없잖아요.
00:39맞습니다.
00:40맞아요?
00:41그게 제일 비싸요?
00:42제일 비쌉니다.
00:42여기 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
00:44지금 우주 밖에서 떠도는 국제 우주정거장
00:48이게 가장 비싼 건축물이거든요.
00:51그래요?
00:52이게 얼마나 비용이 될 것 같아요?
00:54저도 비용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
00:57상승린도 비용 얘기는 모르세요?
00:59비용은 모르죠.
01:015천억?
01:015천억?
01:025천억은 들지 않겠죠?
01:03근데 가장 비싼 건축물이라고 하는데
01:06롯데타워나 이런 거
01:07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건축물 보다.
01:09부르 칼리파 이런 건 조단이거든요.
01:11그러니까요.
01:11그게 조예요?
01:12조단이요.
01:12조단이죠.
01:13그러면 그러면 2조
01:1610조
01:17세게 부른다.
01:18100조
01:19100조까지는 어떻게 봐요?
01:21가장 비슷한
01:23100조요?
01:24가장 비슷한 금액이 있어요.
01:25총 건설비가
01:271,400억 달러
01:28하나로 따지면
01:29얼마요?
01:30185조 원
01:31우와
01:32아 진짜?
01:33200조네 거의?
01:35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드는
01:37프로젝트다 보니까
01:39참가한 국가도 엄청 많았네요.
01:41구술 지원까지 참여한 국가까지 합치면
01:4323개 국가가 참여했다고 하더라고요.
01:46그래서 국제 우주전거장
01:47그렇죠.
01:48여기 참여한 사람들은
01:49약간 이제 프리티켓을 줄 테니까
01:51우기에 나올 일 있으면 같이 좀 쓰자.
01:53네.
01:54그러면
01:55그 안에 방이 여러 개가 있으니까
01:5725개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다 머물고 하겠죠?
02:0023개?
02:01원룸인가요?
02:01여기 안에 다?
02:02사실 원룸은 아니고
02:03맨 처음에 시작할 때는 원룸이었죠.
02:06이게 모듈형으로 되어 있어요.
02:08그래서
02:09붙이게?
02:09그렇죠.
02:10붙이고 붙이고
02:11왜 그런 거 있잖아요.
02:11우주전거장에 이제
02:13우주선이 딱 가면
02:14도킹한다고 하죠.
02:16이렇게 도킹하는 구멍 같은 것들이 있잖아요.
02:19그런 식으로
02:20우주전거장을 계속 확장해왔어요.
02:23지금도 필요한 것들은
02:24가서 짓고
02:26지금 최종적으로
02:27그 길이가
02:28108m가 높는다고 해요.
02:29108m?
02:30우와
02:31108m?
02:32108m고
02:33이 폭 있잖아요.
02:34이 세로로 긴 폭이 한
02:3772.8m 정도?
02:39그러니까
02:41거기 안에가 축구장님보다
02:43큰 것 같은데요.
02:44400m 트랙까지
02:46껴서 있는
02:47종합봉제
02:48그 정도 크기?
02:49그 정도 크기라고 보시면 되고
02:51아까 모듈이라고
02:52말씀드렸잖아요.
02:53총 16개의 모듈로 되어 있거든요.
02:56그리고 이 16개의 모듈을
02:57지탱을 해야 되잖아요.
02:58건설
02:59뭐 하려면
03:00골조나 이런 것들이
03:01지탱을 해야 되니까
03:02그 금속 트러스가 있는데
03:04이 금속 트러스 양쪽으로
03:06태양전지판을
03:08붙입니다.
03:08에너지를 받아야 되니까
03:09에너지를 생성해야 되니까
03:11그래서 사실
03:13그 큰 크기에
03:14사람이 거주를 할 수 있는 공간은
03:17얼마 되지는 않아요.
03:18
03:19피라미처럼
03:21이만한데
03:22안에 공간은
03:23이만큼 있는 거죠?
03:24큰 여객기
03:25맨 앞에서부터
03:26맨 뒤에 정도까지
03:28그 정도 내부 정도라고 보시면 돼요.
03:30나머지는 다
03:31실제로 다 쓰는 겁니다.
03:33그래도 그게 처음에
03:34180조 원씩이나 들여가지고 만들었으면
03:38그 안에서
03:38물론 뭐 태양광 패널로
03:40전기 생산을 한다고 해도
03:42그게 유지 관리하는데
03:43비용도 만만치 않겠는데요?
03:45처음에 한 번에 든 거는 아니고
03:47처음에 발사해서부터
03:49여태까지 운영하고
03:51보수하고
03:52그다음에 확장하고
03:53이런데
03:54아마 총 180조가 들지 않았을까
03:56생각을 하는데
03:57아니 그렇다고 해도
03:58우리나라 1년 예산이 한
03:59650조 좀 넘는데
04:00맞아요.
04:00그렇게 따지면
04:02우리나라 예산에
04:024분의 1이 들어갔죠.
04:03그렇죠.
04:04한 번에 들어갔죠.
04:04그러니까 1년 예산에
04:06그거는 그러면
04:07천년 만년 계속 쓰는 건가요?
04:08녹 쓸지는 않나요?
04:09녹은 안 쓰는데
04:11아무래도 공기가 없으면
04:12사실은 지금도 많이
04:15오랫동안 확장을 해왔어요.
04:16연장을 해왔는데
04:17이제 한계가 와서
04:192030년에
04:21국제우주정거장 운영을
04:23종료를 한다고 합니다.
04:24왜요?
04:25사실은 2018년도에
04:27트럼프 대통령이
04:28이거를 이제
04:29지금은 아까 23개 국가
04:31이런 국가 단위로
04:32운영을 하는 게 아니고
04:34쓸 사람 있어?
04:35하고 민간 사업들한테
04:37얘기를 합니다.
04:37이제 민간으로 넘기겠다.
04:39분양하겠다.
04:39어, 분양하겠다.
04:40그래서
04:41맨 처음에는
04:41되게 많은 회사들이
04:42관심을 가지고 있었어요.
04:43특히 영화 제작사들.
04:46정말로 거기 가서
04:46찍을 수가 있는 거잖아요.
04:48그래서 관심을 가졌었는데
04:50너무나
04:50가는 것도 돈이 많이 들고
04:52그렇죠.
04:53유지도 해야 되고
04:54그래서 돈이 많이 들다 보니까
04:55아까 1인당 67억이라고 했는데
04:58기본적으로
04:58촬영 스태프 있지만
04:59한 100여 명 가야 돼.
05:00출근수록?
05:00그럼요.
05:01그럼요.
05:02한번 갔다 오는 데만
05:03스타일리스트 가야 되는 거에요.
05:06교통비만
05:06몇 명에 가야 돼.
05:08그래서 이제 종료를 하기로 했고
05:102030년부터
05:11조금씩 조금씩 내려서
05:122031년 초에
05:14이제 추락을 시키려고 합니다.
05:15지금 한 420km 상공에 있어요.
05:18이게 원래는
05:19500km였는데
05:20점점 줄어들기는 했거든요.
05:22아무래도 400km라고 하더라도
05:24대기가 없는 건 아니에요.
05:26마찰이 생기거든요.
05:27조금씩 조금씩 떨어지고 있어요.
05:30한 달에 한 번씩
05:31추진체를 켜거든요.
05:33다시 궤도를 올리고
05:34다시 조금씩 조금씩 올리고
05:35약간 연명하고 있는 기분이에요?
05:37너 에너지 떨어지고 있어?
05:39한 번 펌프질 한 번 쫙
05:40이런 식인 거죠.
05:41그래서 조금씩 조금씩 올리고 있다가
05:43이제 올릴 수 없는 한계가 있는 거예요.
05:45그러니까 대기가 두꺼워지는
05:47그 라인이 한 280km 정도 된다고 해요.
05:50그래서 그 때가 들어오면은
05:52위로 올리지 않고
05:53여기가 한계다.
05:54그래서 아래로
05:56이제 떨어뜨릴 준비를 합니다.
05:58추락시킨다고?
05:58지구로 추락시켜야죠.
05:59근데 그게 지구로 추락시키면은
06:02그 거대한 축구장 하나가
06:03지구로 떨어진다고 하면
06:05큰일 나잖아요.
06:06근데 애초부터 만들 때
06:07이 모든 것들을
06:09다 불에 잘 탈 수 있도록
06:11대기권에서
06:12대기권에서 잘 흡수해.
06:13그래서
06:14무싱보장에서 가장 무서운 게 화제예요.
06:17그럼 불 나면 그냥 순식간에 게 있구나.
06:19거기서 진짜 제일 예민한 게
06:21물 먹는 거.
06:23물이 아무래도 전자 장비들이 있으니까
06:25재채기도 조심해야겠네요.
06:26그쵸.
06:27누구 울리면 안 되겠네.
06:29눈물도 안 돼.
06:30울지 마.
06:32어디라고 울어?
06:33울어서는 안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