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세계도 인정한 한국형 경수로 원전! 언제까지 완벽할 건데?
채널A Entertainment
팔로우
2025. 7. 6.
'성장한 기술력으로 더욱 안전하게'
한국형 표준 원자로를 북한에 건설한
개발의 과정을 살펴보자
#이제만나러갑니다 #남희석 #이정민 #김태훈 #북한 #원자로 #기술 #한국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매주 일요일 밤 10시 4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원자력 발전소 한 개를 짓는데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 겁니까?
00:05
당시에 사연이 있는데요.
00:06
이때 우리가 심포에 지으려고 했던 것이 이른바 한국형 표준 원전이었습니다.
00:12
원래 우리나라도 예전에는 당연히 원자로를 우리 기술이 없으니까 여러 나라의 기술을 이용했습니다.
00:18
미국형 원전도 지어봤고 캐나다 그리고 프랑스 기술로도 지어봤는데
00:23
요 무렵 1990년대부터 우리도 원전 기술을 자립을 해야겠다.
00:27
그래서 미국 기술을 기반으로 해서 국산화유를 한 95%까지 높인 한국형 표준 원전을 이때 개발했거든요.
00:37
그래서 그걸 처음 만든 게 울진 3, 4호기가 바로 그겁니다.
00:41
이때가 울진 3, 4호기 짓고 있던 때였어요.
00:45
그래서 처음에 당연히 처음 만들어보는 거니까 이때는 처음 계획부터 완공까지 118개월, 10년을 잡았던 거였죠, 처음에.
00:53
10년?
00:54
네. 정상적이었다면 10년이 걸릴 그 대역사를 갖다가 심포에는 이미 굉장히 좋은 부지라는 게 밝혀져 있었고
01:03
또 약간 울진 원전 3, 4호기를 건설하면서 약간의 노하우들이 쌓이고 있어갖고
01:08
흡기적으로 단축한다는 예상을 했었죠.
01:10
그런데 이렇게 최신형 원전을 지어줬다가 북한이 나쁜 마음 먹고 핵무기라도 만들면 어떡해요?
01:15
맞습니다. 바로 그 부분을 우리가 조심해야 되는데요.
01:19
그래서 우리가 이 당시에 한국형 원전을 관철시킨 것도 바로 그 이유에서 때문입니다.
01:25
원래 이 원전을 지어주기로 한 거는 영변에 오메가와트짜리 걔들이 만든 원자로가 있었거든요.
01:33
그런데 이 영변에 있는 원자로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 만든 원자로가 아닙니다.
01:38
전기?
01:38
네. 핵물질을 생산하기 위해서 특별히 만든 원자로라고 보시면 됩니다.
01:44
중간에 적당히 탔을 때 꺼내서 그걸 재처리해서 프루토닉을 뽑아내기 좋게 만든 원자로입니다.
01:51
우리 한국형 원자로 같은 평화적 목적의 원자로는 한 번 들어가면 꺼내기가 어렵습니다.
01:56
끝까지 다 태워야 돼요.
01:59
이건 어떻게 이해하시면 되냐면 원자로는 아궁이, 나뭇대우는 아궁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02:06
우리 일반적으로 구둘장 데울 때는 나무 집어넣어서 끝까지 완전히 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우잖아요.
02:13
그런 것들도 있지만은 왜 숯 굽는 아궁이도 있지 않습니까?
02:16
있죠.
02:17
그런데 숯가만은 그렇게 되면 안 되고
02:19
불태우고 끊이지 않습니까?
02:22
바로 그 차이입니다.
02:23
이게 완전히 목적이 다르잖아요.
02:28
우리가 일반적으로 핵 발전을 위해서 짓는 거는 방 데우는 아궁이고
02:36
핵 물질, 이거 플루토늄을 만드는 아궁이는 숯가마입니다. 숯가마.
02:42
조작이 굽거나 비율을 딱히 다 지내.
02:48
경수원을 가지고 핵 물질을 만들어내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02:52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한 한국형 표준 원자로를 넣자 이렇게 결정이 됩니다.
02:58
그런데 문제는 이 원자력발전소 하나를 짓는데 어마어마한 공사 자재가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03:05
당시 통계를 제가 조사해왔는데 원자력발전소 100만 킬로와트 한 길을 건설하는데
03:11
시멘트가 30만 톤, 철근이 6만 톤, 콘크리트는 60만 톤 들어간다고 돼 있어요.
03:21
그런데 당시 우리가 이걸 두 기 지어주기로 했어요.
03:24
그러면 두 배로 들어가는 거예요.
03:28
시멘트가 60만 톤, 철근이 12만 톤, 콘크리트는 무려 무려 무려 120만 톤이 들어가는 건데
03:37
이게 어느 정도의 양인지 더 쉽게 체감하시려고 제가 계산을 해왔습니다.
03:42
15에서 20층 고층 아파트 한 동을 건설하는데 시멘트가 2천 톤 정도 들어간다고 합니다.
03:49
북한에 들어간 양이 시멘트 60만 톤이었잖아요.
03:54
이걸 계산해보면 아파트 300동을 건설할 수 있는 양에
03:57
300동을 건설할 수 있는 양에 시멘트가 북한의 심포지역으로 가는 거예요.
04:03
거기다가 철근이 아까 제가 12만 톤 들어간다고 했잖아요.
04:08
한강에 송산대교를 지을 때 철근이 1만 톤 정도 들어갔다고 합니다.
04:13
그러면 한강 다리를 12개 지을 수 있는 분량의 철근이
04:17
이 김중근 대사님 계신 심포로 갔다고 하니까
04:20
어마어마한 건설 자재가 이 지역에 투입이 된 거죠.
추천
0:47
|
다음 순서
[3차 티저] "좋은 보호자 NO! 망치는 보호자!" 늑대로 만든 당신을 위한 맞춤 솔루션 | 개와 늑대의 시간 8/5(화) 첫방송
채널A Home
그저께
19:15
[#클립배송] 자작극이냐 침투냐! 김정은 집무실 상공에 뿌려진 대북 전단? 김여정의 막말 쇼 이끈 ‘평양 무인기’ 사건!
채널A Home
2024. 11. 10.
8:05
[이만갑 모아보기] 다시 북한으로 끌려가는 탈북민들..수령님을 위한 선전도구가 된다!!
채널A Home
2020. 11. 2.
11:46
[#이만갑모아보기] 김정은 손에 선별된 명소?! 北 유튜버가 소개하는 '북한 핫플레이스' 大.공.개♨ #북한여행
채널A Home
2023. 6. 26.
14:02
[#이만갑모아보기] 어차피 후계자는 김주애?! 김정은이 모든 행사에 10세 딸을 데리고 다니는 이유 #북한
채널A Home
2023. 12. 29.
0:37
[예고] 지금껏 말 할 수 없었던 한국에서 북한 남자로 산다는 것
채널A Home
2019. 6. 28.
10:40
[이만갑 모아보기] 북한에서 열풍 남한 드라마 TOP5♥ '태양의 후예' 보다가 단속에 걸리면?! (ㄷㄷ;)
채널A Home
2020. 5. 3.
11:14
[이만갑 모아보기] 한국에서 다시 만난 '옥희네 가족' 탈북 후 새로운 삶을 시작하다!
채널A Home
2020. 8. 23.
8:42
[이만갑 모아보기] 통일이 되면 '우리나라 취업률은 100%' 통일 후 꼭 잡아야 하는 일은?
채널A Home
2020. 11. 11.
8:00
[이만갑 모아보기] 북한의 외화벌이 수단 '중국 단둥'에서 북한 사람들이 쫒겨나고 있다!
채널A Home
2020. 10. 19.
15:49
[#클립배송] 김정은이 경호에 더욱 집착하는 이유는?! 이홍수 수재민을 만나는 위로하는 자리에서도 모든 상황을 통제하던 974부대!
채널A Home
2024. 10. 13.
0:30
[예고] 마음과 달리 쉽게 빠지지 않는 체중! 장내 균형을 잡는 것이 올바른 다이어트의 핵심
채널A Home
3일 전
0:33
[예고] 오직 100일만 열리는 길! 인생을 바꾸는 77km, 아순타 패스
채널A Home
3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