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상 첫 미국 출신 교황인 레오 14세 즉위를 계기로 교황청에 관계 개선의 손짓을 보내고 있습니다.
영국 가디언과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현지시간 19일 바티칸에서 레오 14세 교황을 만나 40분간 회담하면서 백악관 초청 의향을 담은 트럼프 대통령과 멜라니아 여사의 친서를 전달했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회담에 앞서 '시카고 교황 레오'라는 이름이 새겨진 미국 프로풋볼(NFL) 시카고 베어스 유니폼과 성 아우구스티노의 책 등을 선물했습니다.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 교황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출신으로, 아우구스티노는 밴스 부통령의 세례명이기도 합니다.
이날 만남은 앞서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직전인 지난달 19일에도 로마를 방문한 밴스 부통령이 프란치스코 전 교황과 예고되지 않은 몇 분간의 짧은 면담만을 했던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미국 출신인 레오 14세 교황의 즉위를 계기로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불편했던 바티칸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생전 프란치스코 교황은 트럼프 대통령과 이민 정책, 기후변화 대응 등을 두고 여러 차례 충돌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멕시코 국경 장벽 설치' 공약을 두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벽만 세우려 하는 이는 기독교인이 아니다"라고 직격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종교 지도자가 어떤 사람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수치"라고 받아치며 사실상 공개 설전을 벌이기까지 했습니다.
그때와 달리 지금의 레오 14세 교황과는 공통 분모를 찾아 관계 개선의 시발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미국 측의 기대입니다.
즉위 직후부터 레오 14세가 평화를 강조해 온 것과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 등 세계 곳곳의 분쟁을 종식하는 데 힘을 기울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이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밴스 부통령이 올해 국가 가톨릭 조찬 기도회 행사에서 "어느 대통령보다도 평화의 길을 추구해왔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기독교의 사회적 교리와 가톨릭 신앙과 일치한다"고 말한 데서 이런 인식이 드러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장소로 바티칸을 제공하겠다는 레오 14세 교황의 제안에 미국이 적극 화답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바티칸 회담에 대해... (중략)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2016180820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영국 가디언과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현지시간 19일 바티칸에서 레오 14세 교황을 만나 40분간 회담하면서 백악관 초청 의향을 담은 트럼프 대통령과 멜라니아 여사의 친서를 전달했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회담에 앞서 '시카고 교황 레오'라는 이름이 새겨진 미국 프로풋볼(NFL) 시카고 베어스 유니폼과 성 아우구스티노의 책 등을 선물했습니다.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 교황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출신으로, 아우구스티노는 밴스 부통령의 세례명이기도 합니다.
이날 만남은 앞서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직전인 지난달 19일에도 로마를 방문한 밴스 부통령이 프란치스코 전 교황과 예고되지 않은 몇 분간의 짧은 면담만을 했던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미국 출신인 레오 14세 교황의 즉위를 계기로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불편했던 바티칸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생전 프란치스코 교황은 트럼프 대통령과 이민 정책, 기후변화 대응 등을 두고 여러 차례 충돌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멕시코 국경 장벽 설치' 공약을 두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벽만 세우려 하는 이는 기독교인이 아니다"라고 직격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종교 지도자가 어떤 사람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수치"라고 받아치며 사실상 공개 설전을 벌이기까지 했습니다.
그때와 달리 지금의 레오 14세 교황과는 공통 분모를 찾아 관계 개선의 시발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미국 측의 기대입니다.
즉위 직후부터 레오 14세가 평화를 강조해 온 것과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 등 세계 곳곳의 분쟁을 종식하는 데 힘을 기울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이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밴스 부통령이 올해 국가 가톨릭 조찬 기도회 행사에서 "어느 대통령보다도 평화의 길을 추구해왔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기독교의 사회적 교리와 가톨릭 신앙과 일치한다"고 말한 데서 이런 인식이 드러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장소로 바티칸을 제공하겠다는 레오 14세 교황의 제안에 미국이 적극 화답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바티칸 회담에 대해... (중략)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52016180820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상 첫 미국 출신 교황인 레오 14세 직위를 계기로 교황청에 관계 개선에 손짓을 보내고 있습니다.
00:11영국 가디언과 미국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제이디 벤스 미국 부통령은 현지시간 19일 바티칸에서 레오 14세 교황을 만나 40분간 회담하면서 백악관 초청 의향을 담은 트럼프 대통령과 멜라니아 여사의 친설을 전달했습니다.
00:27벤스 부통령은 회담에 앞서서 시카고 교황 레오라는 이름이 새겨진 미국 프로풋볼 시카고 베어스 유니폼과 성 아우그스티노노의 책 등을 선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