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태풍 '카눈' 소멸…주택침수 등 전국 379건 피해

  • 9개월 전
[뉴스초점] 태풍 '카눈' 소멸…주택침수 등 전국 379건 피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전국 곳곳에 피해를 남긴 제6호 태풍 카눈이 오늘 새벽 소멸했습니다.

하지만 태풍이 남긴 비구름의 영향으로 비와 바람이 더 이어질 예정이라 마냥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인데요.

피해 상황부터 주의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장석환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

제6호 태풍 카눈이 이례적으로 한반도를 수직 관통했습니다. 도로와 제방 유실,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정부에선 선제적 대피와 보고 시스템으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했다고 평가했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내륙으로 오면서 태풍의 세력이 약해지기도 했지만, 대비도 잘 됐다 볼 수 있을까요?

태풍 특보는 해제됐지만 여전히 동해상에는 '풍랑특보'가, 중부 서해안에는 '강풍주의보'가 발효 중인데요.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 할까요?

지난 달 큰비가 왔었고 이번 태풍으로 지반도 약해진 만큼 산사태 우려도 큰데 지반이 안정화되기까지는 얼마나 시간이 더 걸릴까요? 비가 그쳤어도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방심해선 안 될 것 같은데요?

이번 태풍으로 오전 11시 기준 여의도 4배에 달하는 농경지가 침수됐고 주택 침수 등 전국 379건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침수됐던 주택과 상가, 농경지를 복구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대구 군위군에선 제방이 무너져 내렸고,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는데요. 최근 기후변화로 '극한 호우' 등 이상 기상 현상이 잦아지며 '100∼2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호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국가하천 등 기반 시설의 설계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떻게 보완이 이뤄져야 할까요?

한편, 제7호 태풍 란이 일본을 향해 북상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영향은 없을까요? 최근 가을 태풍의 피해도 큰 상황인데 앞으로 태풍에 대한 사전 대비를 한다면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시나요?

마지막으로, 오늘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잼버리 폐영식과 케이팝 콘서트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만큼 안전 관리가 중요할 것 같은데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