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0.25%p 추가 인상…동결 가능성 시사

  • 작년
美, 금리 0.25%p 추가 인상…동결 가능성 시사

[앵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가 은행불안 재확산에도 기준금리를 0.25%p 추가 인상했습니다.

금리 상단이 5.25%로 높아지면서 한국과의 금리차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지게 됐는데요.

워싱턴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경희 특파원.

[기자]

네. 연준은 어제부터 이틀간 이어진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상단이 5.25%까지 높아졌고 한미간 금리격차는 역대 최대인 1.75%p로 벌어졌습니다.

연준은 작년 3월 이후 10회 연속 금리를 올렸는데요.

최근 은행자산 규모 14위의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이 JP모건 체이스에 인수되는 등 은행권 불안이 재점화되는 상황에서도 인상을 이어간 것입니다.

은행 시스템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는 판단 아래 물가 안정에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최근 5%대까지 내려왔지만 여전히 서비스 물가를 중심으로 압박이 여전하고 고용시장도 견조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시장에서는 이번이 마지막 인상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을 해왔는데요.

연준은 어떤 입장을 밝혔습니까?

[기자]

네. 이미 시장에서도 0.25%p 인상은 예상하고 있던만큼 이번 회의 최대 관심사는 이번이 마지막 인상이 될 지 여부였는데요.

연준은 추가 인상을 중단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기존 성명문에 담겨온 추가적인 정책 강화가 적절하다는 문구를 삭제한 건데요.

대신 향후 금리 결정은 통화정책의 누적적인 긴축이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 금융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겠다고 밝혀 일단 동결한 뒤 긴축 여파를 살피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3월 성명에서 우리는 위원회가 일부 추가적인 정책 확인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문장을 담았습니다. 그러나 그 문장은 더 이상 성명서에 없습니다.매우 의미있는 변화입니다. 우리는 들어오는 데이터로 판단할 것이며 6월 회의에서 (동결을) 다룰 것입니다."

다만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는 "인플레가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며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현재 금리 수준이 충분히 제약적일 수 있지만 더 많은 긴축이 필요하다면 더 많은 조치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해선 피할 가능성이 크고 온다면 약한 침체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준금리 #연준 #베이비스텝 #인플레이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