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5월 FOMC 발표 D-1…시장, 금리 동결시점 '관심'

  • 작년
[김대호의 경제읽기] 5월 FOMC 발표 D-1…시장, 금리 동결시점 '관심'


미국의 향후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FOMC 정례회의가 시작됐습니다.

0.25%p, 베이비스텝 인상에 무게가 쏠리고 있는 가운데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한 뒤 어떤 신호를 줄지, 특히 동결 시점에 대한 힌트가 나올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우리 시간으로 내일 새벽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지역은행들의 주가가 폭락하며 뉴욕증시도 영향을 받아 하락하는 등 은행 불안이 여전하고 미국 정치권에서도 금리인상 중단을 요구하기도 했는데 연준의 선택,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베이비스텝' 단행에 무게가 실리던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 얼마나 동결 기조가 이어질지 여부로 향하고 있습니다. 퍼스트 리퍼블릭 파산 등 미국의 은행 위기가 긴축 종료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무게를 더하고 있지만 IMF 총재는 인플레를 잡으려면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 중단 가능성을 시사할까요?

금리 결정을 앞두고 불거진 채무상환 불이행 논란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의회가 부채한도 상한을 높이지 않을 경우 미국 정부가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질 거라 경고했는데 어떤 상황인가요? 글로벌 경제에는 어떤 변수가 될까요?

이번 주에는 연준뿐만 아니라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다수 국가가 금리 결정을 앞둔 상황인데요. 이창용 총재가 한국은행과 상황이 비슷하다고 말했던 호주중앙은행이 금리 0.25% '깜짝' 인상을 단행하기도 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이었나요?

한편 연준이 베이비스텝을 단행할 경우 미국 기준금리 상단은 5.25%로 한미 간 금리 역전 폭도 1.75%로 벌어지게 됩니다.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차이다 보니 자본 유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 부작용은 없을까요?

이렇다 보니 오는 25일 열리는 한은 금통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금통위원들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국내외 금융 불안, 경기 둔화, 물가 상승률 하락 등을 근거로 들었고 동시에 5명은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었는데 이번엔 어떤 선택을 할 거라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