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만의 달 복귀 첫발…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

  • 2년 전
반세기만의 달 복귀 첫발…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

[앵커]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반세기만의 달 복귀를 향한 첫 걸음, 아르테미스 1호가 4전5기 끝에 발사됐습니다.

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봅니다.

김지선 기자.

[기자]

네, 아르테미스 1호가 다섯번째 시도만에 마침내 달을 향해 쏘아 올려졌습니다.

우주선 '오리온'을 탑재한 대형 로켓이죠.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 SLS는 우리 시간으로 오후 3시47분쯤 케네디우주센터 발사장에서 밤하늘에 불꽃 궤적을 알리며 우주로 날아올랐습니다.

당초 예정시간보다 44분 정도 늦어진 건데요.

SLS는 발사 2분 만에 양옆의 고체 로켓 부스터를 시작으로 우주선을 감싼 페어링과 비상탈출시스템, 1단 로켓 본체인 '코어 스테이지' 등을 차례대로 분리하며 지구 저궤도로 상승했습니다.

이제 SLS가 발사 약 90분 뒤 상단 로켓이 지구중력 밖 '달전이궤도'에 진입해 오리온을 달로 가는 길목에 안착시킬지 여부가 관심입니다.

발사가 이뤄지는 순간, NASA 연구진들은 물론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 하기 위해 이곳으로 모여든 인파도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앞서 SLS는 초저온 액화 수소와 산소를 연료탱크에 채우는 과정에서 수소 누출이 확인돼 연료 주입이 중단되며 한때 위기를 맞기도 했는데요.

또 레이더 사이트에서 신호 손실을 초래한 문제를 해결하고 통신과 추적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를 수행한 것도 발사 지연에 한몫했습니다.

오리온은 26일 동안 달 궤도를 따라 돈 다음, 다음달 11일 태평양에 입수하는 것으로 무인 비행을 마치게 됩니다.

만약 무사히 귀환한다면, 인류가 개발한 유인 우주선 중 지구에서 가장 멀리 비행하는 기록도 세우게 됩니다.

이번 발사 시도는 초읽기를 기준으로 세 번째, 발사 일정으로 따지면 다섯 번째였습니다.

앞서 아르테미스 1호는 기술적 결함과 악천후로 인해 연거푸 발사가 연기돼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는데요.

이번에는 초읽기 과정도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됐고, 기상 조건 또한 양호해 일찌감치 발사 성공이 점쳐졌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아르테미스_1호 #아폴로_17호 #무인비행 #NASA #달 #케네디우주센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