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프놈펜서 한미정상회담 개최…한미일·한일 연쇄 회담

  • 2년 전
캄보디아 프놈펜서 한미정상회담 개최…한미일·한일 연쇄 회담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조금 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열었습니다.

한미일·한일 회담도 예정돼 있는데요.

대통령실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방준혁 기자.

[기자]

네, 윤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을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됐습니다.

대통령실은 조금 전 캄보디아 프놈펜 현지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시작됐다고 밝혔는데요.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고, 두 정상의 모두발언은 추후에 공개가 될 예정입니다.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언제든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한미 정상은 확장억제 강화 방안을 놓고 협의를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대통령실이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가 제기된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해 미국 측에 우려를 전달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번 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얼마큼 화답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한미 회담에 이어 한미일 3자 회담도 곧 열리는데요.

화두는 단연 북핵입니다.

3국 정상이 마주 앉는 것은 지난 6월 스페인 마드리드에 이어 5개월 만인데요.

오늘 회담을 통해 북핵 대응에 대한 강도 높은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됩니다.

[앵커]

방 기자, 한일 정상회담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기자]

네, 오늘 한일 정상회담도 예고가 돼 있는 상태였는데요.

일찌감치 확정된 한미, 한미일 회담과는 달리, 한일정상회담의 경우 어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한일 정상은 지난 9월 유엔 총회를 계기로 미국 뉴욕에서 만났는데요.

당시 우리는 약식회담, 일본은 간담이라 표현하며 온도차가 나기도 했습니다.

두 정상이 두 달 만에 다시 마주 앉게 된 건데요.

오늘 회담에선 북핵 대응 공조 방안이 가장 우선적인 의제로 분류되고요.

강제징용 배상 등 과거사 문제에서 진전된 성과가 나올 수 있을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미국·일본과의 회담을 한 뒤 윤 대통령은 오늘 저녁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로 향합니다.

발리에선 G20 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첫 대면도 이뤄질 전망인데요.

공식적인 한중 정상회담이 열릴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ang@yna.co.kr)

#윤대통령 #한미정상회담 #북핵실험 #확장억제강화 #한일_강제징용 #한미일정상회담 #G20정상회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