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여야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공방 가열

  • 2년 전
[뉴스1번지] 여야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공방 가열


여야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놓고 연일 공방을 벌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비공개 자료인 대통령 기록물을 공개해야 한다고 압박했고, 민주당은 협조할 생각이 없다고 맞서고 있는데요.

두 분과 정치권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학교 특임교수 박창환 장안대 교수 어서 오세요.

감사원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에 감사에 착수합니다. 월북으로 판단한 경위를 집중 들여다볼 것으로 보이는데요. 유족이 문 전 대통령과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을 고발하겠다는 뜻도 밝힌 만큼 결과에 따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국민의힘은 진상 규명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추진하겠다고 한 데 이어 대통령 기록물 열람도 요청하겠다며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 반면 민주당은 협조할 생각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공개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문재인 정부 청와대와 이재명 의원과 관련한 검찰 수사를 두고 보복수사 논란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생떼 쓰지 말라고 공격했고, 민주당은 기획한 정치보복이라고 맞서고 있는데요. 신구 권력의 대치 상황,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민주당의 '정치보복 수사' 주장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과거 수사를 민주당 정부 땐 안 했나"라고 반박에 나섰는데요. 윤 대통령의 발언이 여야 간 충돌에 기름을 부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어떻게 들으셨어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새 정부 국무회의에서 배제되며 거취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는데요. 윤 대통령이 "임기가 있으니 알아서 판단할 문제"라고 직접 입장을 냈습니다. 여당의 사퇴 압박에 힘을 실어줬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전현희 위원장은 법의 정신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면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사실 이 같은 갈등이 윤석열 정부에서만은 아니죠. 매번 정권 교체 시기마다 벌어지는 일인 만큼, 대통령과 주요 고위직 공무원의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이양희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이 해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성 상납 의혹을 받는 이준석 당 대표의 징계 수위가 관심입니다. 가장 낮은 경고 처분에 그치더라도 이 대표로선 책임론을 피하기도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실제 징계로 이어질까요?

#대통령기록물 #전현희 #이양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