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중국이 홍콩 지배력 강화차원에서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추진하자 서방 국가들이 잇따라 반대성명을 내놓으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중국 회사와 기관 33곳을 미국과의 수출 거래 제한 목록인 '블랙리스트'에 올리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이상주 기자입니다.
【 기자 】
중국이 추진 중인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전복을 선동하거나 테러행위를 하는 등 안전을 저해하면 최대 30년의 징역형에 처하는 법입니다.
민주인사의 선거 참여도 제한할 수 있는 초강력 법안으로 사실상 홍콩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미국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중국이 홍콩에 약속한 고도의 자치권에 대한 종말의 전조"라며 국제적 의무를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영국과 호주, 캐나다 3국 외무장관도 공동으로 반대성명을 냈습니다.
중국은 즉각 내정간섭이라며 반발했습니다.
▶ 인터뷰 : 자오리젠...
중국이 홍콩 지배력 강화차원에서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추진하자 서방 국가들이 잇따라 반대성명을 내놓으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중국 회사와 기관 33곳을 미국과의 수출 거래 제한 목록인 '블랙리스트'에 올리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이상주 기자입니다.
【 기자 】
중국이 추진 중인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전복을 선동하거나 테러행위를 하는 등 안전을 저해하면 최대 30년의 징역형에 처하는 법입니다.
민주인사의 선거 참여도 제한할 수 있는 초강력 법안으로 사실상 홍콩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미국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중국이 홍콩에 약속한 고도의 자치권에 대한 종말의 전조"라며 국제적 의무를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영국과 호주, 캐나다 3국 외무장관도 공동으로 반대성명을 냈습니다.
중국은 즉각 내정간섭이라며 반발했습니다.
▶ 인터뷰 : 자오리젠...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