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있는 무서운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 영화 '분홍신'이후 두 번째 공포영화에 도전한 김용균 감독이 밝힌 연출의 변이다.
배우 이시영이 호러퀀 도전에 나선 '더 웹툰:예고살인'(이하 더 웹툰)은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는 탄탄한 스토리로 '깜짝쇼' 이상의 재미를 선사한다.
웹툰을 소재로 한 영화답게 만화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점도 돋보인다. 김감독은 데뷔작 '와니와 준하'에서 순정만화적인 애니메이션으로 서정적 감성을 살린 바 있다.
이번에는 김대일 작가가 그린 강렬한 그림체의 공포만화로 영화보기의 즐거움을 더했다. 극중 만화는 살인사건의 잔인한 순간을 대신하면서 거부감을 덜기도 하고, 만화내용 그대로 살인이 벌어질 것이라는 암시를 통해 극적 긴장감을 더하기도 한다.
더 웹툰은 인기 웹툰 작가의 만화그대로 살인사건이 벌어지고 담당형사가 사건을 추적하는 익숙한 구조다. 하지만 뭔가 익숙해질만하면 새로운 사실을 툭툭 던지며 관객의 이목을 잡아둔다.
인기작가 강지윤(이시영)을 담당하는 포털사이트 웹툰 부서 편집장은 강작가가 마감한 원고를 읽다가 경악한다.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자신의 어린 시절 비밀이 만화로 그려진 것. 심지어 만화를 보고 놀라는 자신의 모습과 이후 누군가에게 쫓겨 죽음에 이르는 순간까지 전부 다 만화에 나와 있다.
강력계 형사 기철(엄기준)은 처음에는 자살로 치부하나 컴퓨터 속 미공개 웹툰을 보고 지윤을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한다. 와중에 두 번째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지윤은 아무도 몰랐던 사실을 털어놓는다.
무더운 여름을 겨냥해 개봉되는 공포영화답게 이 영화는 초반에 발생하는 두건의 살인사건과 창작 스트레스로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가 지윤의 핏빛 환상을 통해 관객의 비명을 이끌어낸다.
하지만 비명은 점점 줄어들고 공포보다는 스릴러적 재미를 선사한다. 도대체 이 비극의 근원은 어디인지 어디서부터 잘못됐는지를 들여다보게 한다. 마지막 반전을 위한 반전은 아쉬우나 김감독의 의도대로 "재밌는 이야기 덕분에" 끝까지 스크린에 집중하게 된다.
더 웹툰은 과거 공포영화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던 인과응보의 이치를 따른다. 사실 요즘 공포나 스릴러 장르에서는 사이코패스가 범람했다. 그들은 별 이유 없이 사람을 죽였고, 그들을 피할 뾰족한 방법은 없었다.
더 웹툰이 다루는 죽음은 대부분 우발적이면서 슬픈 이면을 갖고 있다. 첫 번째 희생자는 과거 기괴한 얼굴을 가진 엄마 때문에 괴로워하다 엄마의 자살을 방치한 비밀스런 과거가 있다.
두 번째 희생자는 오랫동안 병수발을 들던 아내의 죽음이 내심 반가웠던 사람이다. 인간이 한순간 잘못 먹은 마음은 타인을 불행하게 만들고, 그것은 결국 부메랑이 돼 자신의 삶을 망가뜨린다.
영화 '위험한 상견례' '남자사용설명서'등 로맨틱 코미디에 주로 출연해온 이시영이 이번 영화로 첫 호러퀸 도전에 나섰다. 그는 악몽에 시달리는 혼란스런 상태의 웹툰 작가로 등장해 두려운 눈빛과 표정으로 관객의 불안을 자극한다.
이번 도전으로 이시영이 충무로의 주목할 20대 여배우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킨다. 15세 관람가, 27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