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선언' 나오나…靑 "북미 종전선언 가능"

  • 5년 전

◀ 앵커 ▶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회담 내용에 대해서 언급을 조심해온 청와대가 오늘 이번 회담에서 북미가 종전 선언에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청와대 출입기자 연결합니다.

이덕영 기자.

◀ 기자 ▶

네, 청와대입니다.

◀ 앵커 ▶

그동안 평화협정으로 가는 입구로 '종전 선언'이 거론돼 왔단 말이죠.

청와대가 이번 회담에서 북미가 종전 선언에 대해서 합의할 수 있다, 이런 전망을 했다는 거죠?

◀ 기자 ▶

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종전선언이 북미간 의제가 될 수 있냐는 질문에 "가능성이 열려있다", 또 북미 사이에 얼마든지 합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종전선언을 놓고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이 참여하는 형식들이 다양하게 거론돼 왔는데요, 북미간 종전선언만 해도 충분하다고 했습니다.

종전선언 관련국인 남북미중 가운데 수교나 불가침 선언을 하지 않은 나라는 북한과 미국뿐이어서 두 나라가 합의하면 종전선언은 완성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앵커 ▶

문재인 대통령도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전제해서 '신한반도 체제'라는 표현으로 나름의 구상을 밝혔는데, 어떻게 해석하면 될까요?

◀ 기자 ▶

네, 청와대 관계자는 신한반도체제가 비핵화에 국한된 작은 개념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평화와 공존, 경제와 번영을 신한반도체제의 주요 키워드로 제시했는데요, 비핵화 과정과 이후 한반도를 둘러싸고 새롭게 구축된 국제질서에서 한국이 지속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문 대통령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역사의 변방이 아닌 중심에 서서, 전쟁과 대립에서 평화와 공존으로, 진영과 이념에서 경제와 번영으로 나아가는 신한반도 체제를 주도적으로 준비하겠습니다."

이런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문 대통령은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는데요, 미국 백악관이 공개한 기념주화에 문 대통령의 이름과 태극기가 새겨진 것도 촉진자와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인정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청와대는 평가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선 국회도 모처럼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여야 5당 원내대표들은 오늘 이번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고 지지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