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지상파 3사 TV 토론, '삼프로 TV' 쫓아갈 수 있을까? / YTN

  • 2년 전
대선 후보 4명의 삼프로 TV 출연 유튜브 방송을 보셨습니까? 대단하죠.

그러고 나서 사람들은 이런데 방송사들은 도대체 뭐하는 거냐는 질타를 쏟아부었습니다.

드디어 두 후보의 TV토론이 열린다고 합니다.

합의는 일단 했는데 날짜는 27일일지 바뀔지는 전해 드린 대로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어쨌든 방송사의 TV토론은 겉은 번지르르한데 사실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해 왔습니다.

이게 선거 관련 법과 규칙에 이렇게 돼 있습니다.

익숙하시죠. 이건 법정토론일 때 이렇게 하는 건데 방송사 토론도 거의 이대로 가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방송사가 주관하는 토론은 이런 것에 얽매이지 말고 좀 더 자유롭게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래서 이런 질문을 한번 던져봤습니다.

첫째, 왜 꼭 TV토론만 해야 되는가. 라디오도 있고 화상으로 하면 안 되나? 그다음에 기타 플랫폼도 잔뜩 있는데 아직도 아날로그 TV토론만? 그다음 왜 정치, 경제, 사회교육, 외교안보, 문화가 2시간 안에 다 들어가서 한 번 딱 하고 끝나는가?

정치 1시간, 경제 1시간, 외교안보 1시간, 문화도 1시간 해서 아침에도 하고 저녁에도 하고 하면 안 되는가.

그러니까 왜 꼭 생방송을 해야 되는가? 녹화해 놨다가 그대로 틀면 되지. 이런 자유로운 발상들이 필요한 거죠.

유권자에게 유익하고 흥미도 느낄 수 있도록 높여야만 됩니다.

보시면 스탠딩 토론은 아예 못을 박아놓은 것처럼 그 자리에서 그냥 합니다.

왜 그러는가. 상대 후보한테 가서 얼굴을 들이밀기도 하고 청중 앞으로 가서 손짓, 발짓도 해가면서 얘기하면 안 되나?

그다음에 부동산 얘기하다가 시간 됐다고 끊고 일자리 얘기하다가 시간 됐다고 끊고 이러지 말고 시간을 각 부문별로 관리를 해서 부동산에 대해서 어떤 후보는 15분 하고 어떤 후보가 10분 했다고 하면 적게 한 후보한테 나중에 5분을 갖다가 얹어주든지 좀 뭔가 총량 관리 방법으로 가는 방식.

그다음에 수어 통역사, 이거 중요합니다. 수어 통역을 하는데 이 후보하고 이 후보가 막 싸우면 손짓, 발짓하는 게 어느 후보 걸 통역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니까 수어통역사를 후보당 1명씩 붙여가지고 까만 옷을 입은 사람은 어느 후보, 파란 옷을 입은 사람은 어느 후보. 이런 식으로 할 필요도 있는 거죠.

그다음에 사회자가 말 안 듣는 후보들을 ... (중략)

YTN 변상욱 (byunsw@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118203718983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