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코로나에 가려진 조류독감…피해규모 역대 2위 外

  • 3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과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동아일보입니다.

◀ 앵커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가축 살처분으로 인한 농가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는 138일째 이어지고 있고 약 2,808만 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다는데요.

최악의 피해를 입었던 2016년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규모라고 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기도의 경우, 살처분이 진행된 농장 가운데 발생 지점과 3킬로미터 정도 인접했다는 이유만으로 살처분된 농장만 128곳이라는데요.

하지만 정부는 예방적 살처분 조치가 적절했다고 평가하면서 "선제적 조치를 하지 않았다면 지금쯤 살처분된 가금류가 더 많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신문입니다.

경찰이 정인이가 사망하기 전에 아동학대 의심 신고를 접수하고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 국가인권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인권위는 '세 차례의 아동학대 의심 신고가 있었음에도 경찰이 적극적인 조치를 하지 않아 정인이의 사망을 막지 못했다'면서 경찰이 정인이의 인권을 침해했다는 취지의 진정을 접수하고 조사 중이라는데요.

경찰은 지난해 9월 23일 정인이의 영양 상태를 두고 아동학대가 의심된다는 소아과 의사의 신고를 접수하고도 양부모의 격한 반응과 정인이에게 신체상 학대 정황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식 수사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개인 자격으로 진정을 제기한 A씨는 "비록 경찰이 정인이가 사망한 이후 무엇이 문제였는지 스스로 밝혔지만 '셀프 진단'에 그치지 않고 제3의 기관에서 중립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아동성추행 혐의로 1심에서 실형이 선고된 동화작가 한예찬 씨의 책을 출간해온 출판사가 서점에 깔린 한씨의 책을 모두 회수하기로 했습니다.

한씨 책을 펴내온 가문비 출판사는 한씨가 재판을 받던 시기 24권에 이르는 새 책을 냈고, 1심 유죄 선고 뒤에도 회수 조처를 하지 않고 두 달 넘게 판매해오다가 어제 오후, 공지를 통해 "도서를 모두 반품받겠다"고 밝혔는데요.

한씨가 쓴 책들은 서점과 도서관에서 회수 및 열람 제한 조처에 들어갔지만, 문제는 한씨가 쓴 동요 노랫말입니다.

25년 전에 만들어져 지금도 유튜브 콘텐츠로 수십만 회씩 재생되는 동요 '아기다람쥐 또미'의 노랫말이 대표적인데, 노랫말은 자율적 퇴출 말고는 마땅한 처리 방법이 없습니다.

작곡가 조원경 씨는 "이 노래를 듣고 부르며 자란 아이들이 많다"면서 "이미 알려진 노래라 가사를 바꾸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 고민된다"고 말했습니다.

◀ 앵커 ▶

조선일보 살펴봅니다.

남아시아 패권 자리를 놓고 겨루는 중국과 인도가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 주변 나라를 상대로 치열한 코로나19 백신 지원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인도는 지난달 중순 이웃 부탄에 15만 회분 지원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 남아시아 주변 여섯 개 나라에 약 5백만 회분의 백신을 무상으로 제공했고, 중국은 지난 1일 파키스탄에
백신 50만 회분을 준 데 이어서 캄보디아, 라오스 등 네 개 나라에 백신을 공짜로 나눠 줬는데요.

미국의 한 외교 전문지는 "지금은 '백신 외교'에서 인도가 약간 앞섰지만, 중국이 뒷심을 발휘하면서 양국 경쟁은 더 뜨거워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중앙일보입니다.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신고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에 정부가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과도한 규제가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인 이른바 '유니콘'의 발목을 잡는 요소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라는데요.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의 운영사인 쏘카가 대표적인 사례인데, 타다는 출시 1년도 안 돼 가입자 백만 명을 넘겼지만 국회가 '타다금지법'을 통과시키면서 결국 서비스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한 전문가는 "쿠팡의 핵심 서비스인 '로켓배송'도 불법 논란을 겪었다"면서 "정?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