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
  • 2개월 전


[앵커]
돌발 상황이 더 당혹스러운 건, 저희 취재 결과 이미 전세기에 탑승할 직원들이 자진출국 서류에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추방이 아닌 우리가 원해온 자진 출국 형태로 서류 서명까지 했다는 겁니다.

자세한 내용, 정다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 교정시설에 구금 된 우리 국민 중 출국을 희망한 300여 명이 미국 이민 당국의 '자진출국' 동의서에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출국을 희망한 300여 명이 '자진 출국 동의서'를 작성하고 출국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자진 출국' 형태로 국민들을 귀국시킨다고 강조한 우리 정부와 달리 미국 정부는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는데 서류 작성을 통해 미국도 형식적으로 우리 국민을 '추방'이 아닌 '자진 출국'으로 간주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하지만 불이익 등 우려는 남아있습니다.

일부 구금자들이 서명한 또 다른 서류에 "1인당 1천 달러, 우리 돈 140만 원의 보조금을 받는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보조금은 미국 내 불법 체류자들의 자발적 출국 유도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서 최근 신설된 것이어서 '불법 체류'로 여겨질 우려가 있다는 겁니다.

또, 구금자 중 관광 목적 무비자로 입국한 경우엔 향후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안내를 받은 것으로도 전해집니다.

[구금자 측 변호사]
"WB(비즈니스 목적 무비자)로 오신 분은 불이익이 없고 WT(관광 목적 무비자)로 찍혀 있는 분들은 불이익이 있다, 그렇게 안내를 받으신 겁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

영상취재 : 김래범
영상편집 : 석동은


정다은 기자 dec@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돌발 상황이 더 당혹스러운 건 저희 취재 결과 이미 전 세계에 탑승할 구금된 직원들이 자진 출국 서류에 서명을 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00:11그러니까 추방이 아니라 우리가 원해온 자진 출국 형태로 서류 서명까지 이미 했다는 거죠.
00:17자세한 내용 정다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00:19미국 조제아주 포크스톤 교정시설에 구금된 우리 국민 중 출국을 희망한 300여 명이 미국 이민당국의 자진 출국 동의서에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00:34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출국을 희망한 300여 명이 자진 출국 동의서를 작성하고 출국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00:41그동안 자진 출국 형태로 국민들을 귀국시킨다고 강조한 우리 정부와 달리 미국 정부는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는데
00:51서류 작성을 통해 미국도 형식적으로 우리 국민을 추방이 아닌 자진 출국으로 간주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00:59하지만 불이익 등 우려는 남아있습니다.
01:03일부 구금자들이 서명한 또 다른 서류에 1인당 1000달러, 우리 돈 140만 원의 보조금을 받는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는데
01:11이 보조금은 미국 내 불법 체류자들의 자발적 출국 유도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서 최근 신설된 것이어서 불법 체류로 여겨질 우려가 있다는 겁니다.
01:23또 구금자 중 관광 목적 무비자로 입국한 경우에는 향후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안내를 받은 것으로도 전해집니다.
01:31WB로 오신 분은 불이익이 없고 WT로 찍혀있는 분들은 불이익이 있다 그렇게 안내를 받으시는 겁니다.
01:40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01:47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
01:48KBS 뉴스 정다은입니다.
02:02한글자막 by 한효정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