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더보기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국가대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사라지고 있는 대한민국 유소년 선수층
채널A Life
팔로우
3개월 전
국제 경기에서 나라를 대표해 출전하는 '국가대표'
대한민국을 빛내 온 태극마크
하지만 2024 파리올림픽, 역대 최소 인원 144명 출전?!
[국가대표가 사라졌다] 토요일 오전 11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국가대표, 대한민국 최고의 자리에 선 이들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00:17
드디어 건국 이후로 몬트리올 올림픽 광장에 애국가가 울려 퍼졌습니다.
00:23
올림픽 신기록으로 중국의 1, 2진장을 누르고 감격의 금메달을 차지했습니다.
00:38
아무나 갈 수 없는 자리죠.
00:42
대한민국의 국민을 등에 업고 같이 앞에서 뛸 수 있는 그런 자리이기 때문에.
00:47
책임감이 정말 많이 있는 자리고 국가를 위해서 조금 희생한다?
00:53
이런 희생정신이 없으면 안 돼요.
00:59
1988년, 401명의 국가대표들이 한국 스포츠의 힘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01:06
그중에 저처럼 아직도 이 선수를 기억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01:11
그대에 나왔을 때는 우리가 꼭 한번 뭔가 한번 해보자는 그런 마음가짐이 있었고.
01:16
스포츠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에서 약간 좀 더 으샤으샤 해보자는 그런 분위기가 막 이뤘던 그런 세대였어요.
01:25
저희가 D-365명 중교에서 이렇게 하나씩 하나씩 빼면서 이렇게 했던 기억이 있고요.
01:37
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
01:44
대한민국이라는 존재가 세계 속에서 어, 코리아라고 호명될 정도로 한번 도약해보자.
01:49
1차적으로 우리가 메가 이벤트를 열었을 때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큽니다.
01:58
도로를 만든다든가 또 경기장이 생긴다든가 지하철이 생긴다든가 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고 좋은 태도를 보였을 때 국가의 이미지가 상승되거든요.
02:10
서울 대회의 경제 효과는 현재 물가로 약 19조 5천억 원.
02:19
경제도 산업도 도약하던 시기.
02:21
국가대표는 그 변화의 중심에 있었죠.
02:24
국가대표는 민족 고난과 순환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그 당시 대한민국 국민들의 집합적 감성이 국가대표 한 사람 한 사람한테 투영됐던 아주 상징적인 존재였었어요.
02:44
한국 스포츠의 전환점이 됐던 1988년.
02:49
그 후로도 우리는 세계 무대의 태극마크를 당당히 새겨왔습니다.
02:54
그리고 작년 파리 대회.
03:01
그 감동 뒤엔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03:06
아 저는 정말 충격이었죠.
03:09
왜 우리가 올림픽에 나가는데 144명밖에 안 됐을까.
03:13
144명의 선수가 지난 파리 대회에 사실은 출전했던 걸로 알고 있는데요.
03:20
그런데 어떻게 보면 굉장히 효율적으로 금맥을 잘 캤다.
03:25
강팀들 사이에서 우리의 존재감은 결코 작지 않았습니다.
03:29
하지만 시야를 넓혀보면요.
03:32
한때 스포츠 침체기를 겪은 일본과 출전 인원을 비교하면 지금은 완전히 다른 길을 가고 있죠.
03:38
게다가 14개의 구기 종목 중 단 하나.
03:44
여자 핸드골만 무대에 올랐습니다.
03:47
사실은 선수가 부족한 게 한국 스포츠의 최대 문제이거든요.
03:51
1980년대까지는 한국의 합계 출산율이 두 명이 사실은 넘었어요.
03:59
그런데 이제 2000년대 21세기 들어오면서 그게 어느 순간에 한 명대로 떨어졌고
04:05
2024년 기준으로 보면 대략 0.75명 정도의 사실은 되거든요.
04:11
2000년대 초중반부터 보게 되면 이제 이때 태어난 선수들이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되는 시점이 됐거든요.
04:19
선수풀을 갖추기에는 굉장히 어려운 물리적인 수치적인 환경이라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04:29
출산율 하락 그리고 줄어드는 청소년들.
04:34
교실의 빈자리가 늘어날수록 선수를 키울 기반은 빠르게 무너지고 있습니다.
04:40
12년 동안 메달이 없었어요.
04:44
동메달조차도 못 땄습니다.
04:46
그래서 유선율이 중요하죠.
04:47
배가 끊어지면 그래서 이제 유선율을 잘 키워서 그 텀이 없게끔 만들어줘야
04:53
그죠. 탁구라는 종목을 계속 알릴 수 있는 거고
04:57
그리고 탁구를 치는 선수층이 나오겠죠.
05:00
그 꿈을 가지고 또 하는 후배들이 나오겠죠.
05:03
국가대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05:10
유소년이라는 뿌리가 있어야 엘리트라는 주의기가 자라고 국가대표가 탄생하는 거죠.
05:15
하지만 지금 이 구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겁니다.
05:21
지금의 유소년 스포츠는 어떤 상황인 걸까요?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댓글을 추가하세요
추천
6:59
|
다음 순서
이진숙, 제자 석사논문 요약해 정부 연구비까지?
채널A News
4개월 전
2:48
尹구속취소 항고 포기한 대검 "기존처럼 '날'로 산정하라" 지시
중앙일보
8개월 전
0:44
[앉아서 세계 속으로]가방 하나가 137억 원
채널A News
4개월 전
0:41
[예고] 파키스탄에게 전수받은 북한의 핵 기술!? 인도-파키스탄의 무력 충돌, 대한민국과 북한이 보인다!
채널A Home
5개월 전
4:30
[선공개] "카를로스가 왜 거기서 나와" 120만 크리에이터 아내와 브라질에 간 카를로스
채널A Home
10개월 전
0:30
[예고] 청량리역 앞에 내 집 마련 기회?! 지금 당장 살 수 있는 새 집을 소개합니다
채널A Home
6일 전
3:54
[돌직구 강력반]8일 만에 또…화재로 자매 참변
채널A News
4개월 전
첫 번째로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