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1년 6개월 동안 수업 거부에 나섰던 의대생 8천여 명의 2학기 복귀가 허용됐습니다. 

의사 국가시험도 추가로 시행됩니다.

오랜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이 일단락되는 모습은 다행이지만, 반복된 선처에 대한 비난 여론도 적지 않습니다.

이다해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의대생들의 2학기 복귀를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입니다.

교육부는 오늘 "개별 대학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인정하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의대 총장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유급으로 처리는 유지하되 2학기 복귀가 가능하도록 한 겁니다.

6년 의대 교육과정을 방학 등을 이용해 5년 반으로 단축해 이수하는 방안입니다.

이에 따라 8월 졸업하게 되는 본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의사 국가시험 추가 시행도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혜라는 비판에 교육부 관계자는 "당장 내년 의료인력이 정상 배출되지 않으면 의료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의대는 학년제로 진급하는 만큼, 수업을 듣지 않은 24, 25학번이 내년 2월 복귀했을 때 벌어지는 '트리플링' 문제도 고려됐습니다.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수련협의체 첫 회의도 열렸습니다. 

[이형훈 / 보건복지부 제2차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전공의 수련 복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소통하고 협력할 것입니다."

구체적인 모집 자격 논의와 함께 전공의 모집 공고는 8월 초부터 진행될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

영상취재: 김석현
영상편집: 박혜린


이다해 기자 cand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1년 6개월 동안 수업 거부에 나섰던 의대생 8천여 명의 2학기 복귀가 허용됐습니다.
00:07의사 국가시험도 추가로 시행됩니다.
00:11오랜 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이 일단락되는 모습은 다행이지만 반복된 선처에 대한 비난 여론도 적지 않습니다.
00:19이다혜 기자입니다.
00:22정부가 의대생들의 2학기 복귀를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00:26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이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입니다.
00:31교육부는 오늘 개별 대학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인정하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00:38의대 총장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유급 처분은 유지하되 2학기 복귀가 가능하도록 한 겁니다.
00:446년 의대 교육 과정을 방학 등을 이용해 5년 반으로 단축해 이수하는 방안입니다.
00:50이에 따라 8월 졸업하게 되는 본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의사 국가시험 추가 시행도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00:58특혜라는 비판에 교육부 관계자는 당장 내년 의료인력이 정상 배출되지 않으면 의료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01:07의대는 학년제로 진급하는 만큼 수업을 듣지 않은 2, 4, 2호 학번이 내년 2월 복귀했을 때 벌어지는 트리플링 문제도 고려됐습니다.
01:15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수련협의체 첫 회의도 열렸습니다.
01:29구체적인 모집 자격 논의와 함께 전공의 모집 공고는 8월 초부터 진행될 전망입니다.
01:36채널A 뉴스 이다혜입니다.
01:45채널A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