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죽음 속에서 탄생한 생명의 지혜! 안전벨트부터 차선 이탈 경고까지! 당신의 차를 지킨 법의학의 힘!
채널A Entertainment
팔로우
그저께
법의학은 지문, DNA, 치아 등 개인 식별 기술을 발전
교통사고 사망자 부검 데이터는 안전벨트와 에어백 같은
차량 안전 장치 개발에 기여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유성호 #의학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도자기를 막 감식하다가 어떤 의사가 거기에 찍힌 지문을 보고 그리고 사람마다 좀 다를 수 있겠다라고 해서 연구를 시작했고 그걸 네이처에 발표했고.
00:12
그 다음에 프렌시스 골턴이라고 찰스 다윈의 사촌이 사람마다 다 다르구나 하면서 분류를 한 게 그때부터 19세기 후반부터야.
00:21
생각보다 오래 안 됐네.
00:22
이때부터 이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걸 근거로 수사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 거고요.
00:29
지문에도 사실 유형이 있다는 거 혹시 알고 계시나요?
00:32
처음 들어봤는데요.
00:34
여러 과학자들이 이런 것들을 분류했는데 대략 한 8가지에서 9가지 정도로 분류가 됩니다.
00:42
여러분 혹시 어떤 형인지 보이세요?
00:46
말구평이 많이 보입니다.
00:48
나도 중심이 있는 말구평인 것 같은데.
00:50
나선형이랑 말구평.
00:53
사실 중심이 있는 말구평이라도 그 모양이 조금씩 조금씩 달라서
00:57
일일이 눈으로 확인을 했던 거죠.
01:00
이렇게 크게 분류해 놓고요.
01:01
지금은 지문이 법의학에 이용되면서
01:03
자동 지문 식별 시스템 덕분에
01:06
수천만 건의 지문을 몇 초 만에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파워풀한 툴이 된 거죠.
01:11
패턴 분석이니까 AI가 제일 잘하죠.
01:13
그렇습니다.
01:14
현재는 법의학에서 딱 3가지가
01:17
이 사람이 다르구나 하고 쓰일 수 있어요.
01:19
첫 번째가 지문.
01:20
두 번째가 DNA.
01:23
세 번째가 안구.
01:24
치아입니다.
01:25
저는 홍채인 줄 알았어요.
01:28
홍채에도 쓸 수 있는데
01:30
이거는 사람마다 홍채를 구별하기가 좀 어렵고요.
01:33
죽은 사람은 또 금방 백탁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01:35
확인이 어려워서 활용이 못 돼요.
01:37
그렇네.
01:38
치아는 시체도 가능하니까 그렇죠?
01:41
그렇습니다.
01:42
치아는 여러분 보기에는 다 사람마다 똑같지 않나 생각할 수 있는데
01:44
치아만 갖고도 사람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어요.
01:49
예전에 세월호 때 어떤 분이 도주를 했는데
01:52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매실밭에서 발견된 시신은 유병원 씨가 맞다고 밝혔습니다.
02:04
어떻게 우리가 이분이 이분이냐를 확인했느냐
02:09
DNA 검사도 했고 지문 검사도 했지만
02:12
또 하나 치열
02:13
치과의사분한테 이분을 어떻게 치료했는지 모든 걸 얻고
02:19
시신을 법치의학자가 또 확인을 하고
02:22
이 두 개를 각각 비교를 해보면 똑같다는 걸 확인한 거야
02:25
저도 그 자리에서 확인을 했고요.
02:27
자 다음 문제 가보겠습니다.
02:39
메달 받는 거 아니야?
02:41
아 느낌 옵니다.
02:42
법약은 우리 안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02:46
사망한 시체를 부검하면서 사건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고
02:49
그걸 예방하기 위한 일들을 가능하게 합니다.
02:52
1960년대에서 70년대 미국에 자동차가 엄청나게 보급되면서
02:57
교통사고 사망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03:00
교통사고 사망자들을 일일이 부검을 해봤더니
03:03
공통점이 있었어요.
03:04
어떤 게 있었냐?
03:05
운전대에 의해서 흉부를 강하게 부딪히면서 생기는 심장 파열
03:10
앞 유리창에 부딪히면서 머리뼈 골절과 내부장기 파열까지
03:18
반복제는 손상 패턴을 수많은 교통사고의 부검을 통해서 알게 됐던 거예요.
03:23
이런 상황이 분석되면서 안전벨트 이외에도 차량 안전장치가 개발되게 됩니다.
03:30
그래서 생긴 장치가 에어백
03:32
에어백이에요.
03:34
정확합니다.
03:34
70년대 말 미국 교통안전국은 법의학자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03:39
에어백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보고서를 발표하게 됩니다.
03:43
안전벨트와 함께 에어백이 서졌을 때 사망률은 평균 40% 이상 감소하게 되는데요.
03:49
미국에선 에어백을 의무 장착하도록 했고요.
03:52
이후 2000년대 초에 한국에서도 에어백 관련 법안들이 도입이 됩니다.
03:58
이외에도 법의학적으로 통계를 통해서 탄생한 안전장치가 여러 개가 있는데요.
04:02
후방 추돌 시 여러분 목이 꺾이면서
04:04
경추 골절을 막아주는 헤드웨스트
04:07
목 뒷받침대
04:09
사고 다발 유형 운전자 실수 패턴 등을 분석해서
04:14
차로 이탈 용로라든지 긴급 제동 장치 등이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04:17
네.
04:18
네.
04:18
감사합니다.
추천
1:00
|
다음 순서
[예고] 할머니를 '엄마'라 부르며 성장을 멈춘 초3 아들
채널A Home
2025. 5. 30.
19:01
주진우 ‘검사 부친’ 의혹까지 꺼낸 여당
채널A 뉴스TOP10
2025. 6. 20.
46:23
오늘N.250710
ontvkorea
그저께
45:51
다큐멘터리 K.250710
ontvkorea
그저께
33:10
인간극장.E6145.250610
ontvkorea
2025. 6. 10.
22:46
최고의 요리비결.E5530.250710
ontvkorea
그저께
51:40
뉴스 퍼레이드.E1311.250710
ontvkorea
그저께
46:27
세계테마기행.E6368.250710
ontvkorea
그저께
16:17
한국기행.E5436.250710
ontvkorea
그저께
1:01:41
웹드라마 - 탄금 [2025] EP.10
ontvkorea
2025. 6. 22.
1:09:14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E10.220728
ontvkorea
2025. 7. 4.
1:33:37
대결 팽봉팽봉.E10.250621
ontvkorea
2025. 6. 21.
1:44:41
뛰어야 산다.E10.250621
ontvkorea
2025. 6. 21.
6:19
[선공개] 파워J 미국 사위의 완벽한 계획에 놓친 한가지! 파리의 명물(?) 명품거리를 못 간 선우용녀
채널A Home
2025. 4. 10.
5:03
[선공개] 행성들의 이름은 무엇? 오늘 좀 멋있는 과학 전문가 궤도가 설명해주는 행성 이름
채널A Home
2025. 6. 12.
5:28
[선공개] 궁궐을 피바다로 만들었던 연산군! 그 옆을 지키는 최악의 간신 '임숭재'가 죽기 직전 남긴 유언
채널A Home
2025. 6. 26.
5:54
[선공개] 전 세계를 휩쓴 오징어 게임! 이탈리아 패밀리가 직접 참가했다? 현지 팬들과 K-전통놀이 한 판!
채널A Home
2025. 3. 20.
21:48
웹예능 - 추라이 추라이 [2025] EP.12
ontvkorea
2025. 6. 30.
1:43
[미방분-육아교실] 아이의 정서 발달을 위해♨ "T형" 부모에게 추천하는 ☞감정 언어 소통법☜
채널A Home
2025. 2. 28.
1:00
[예고] 100점이 아니면 안 된다는 금쪽이와 엄마의 수상한 행동? 금쪽 가족에게 무슨 비밀이?
채널A Home
2025. 6. 27.
1:01
[예고] 명문고 입시 지옥에 빠진 고2! 영어 울렁증은 극복할 수 없는 걸까?
채널A Home
202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