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법의학은 지문, DNA, 치아 등 개인 식별 기술을 발전
교통사고 사망자 부검 데이터는 안전벨트와 에어백 같은
차량 안전 장치 개발에 기여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유성호 #의학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도자기를 막 감식하다가 어떤 의사가 거기에 찍힌 지문을 보고 그리고 사람마다 좀 다를 수 있겠다라고 해서 연구를 시작했고 그걸 네이처에 발표했고.
00:12그 다음에 프렌시스 골턴이라고 찰스 다윈의 사촌이 사람마다 다 다르구나 하면서 분류를 한 게 그때부터 19세기 후반부터야.
00:21생각보다 오래 안 됐네.
00:22이때부터 이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걸 근거로 수사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 거고요.
00:29지문에도 사실 유형이 있다는 거 혹시 알고 계시나요?
00:32처음 들어봤는데요.
00:34여러 과학자들이 이런 것들을 분류했는데 대략 한 8가지에서 9가지 정도로 분류가 됩니다.
00:42여러분 혹시 어떤 형인지 보이세요?
00:46말구평이 많이 보입니다.
00:48나도 중심이 있는 말구평인 것 같은데.
00:50나선형이랑 말구평.
00:53사실 중심이 있는 말구평이라도 그 모양이 조금씩 조금씩 달라서
00:57일일이 눈으로 확인을 했던 거죠.
01:00이렇게 크게 분류해 놓고요.
01:01지금은 지문이 법의학에 이용되면서
01:03자동 지문 식별 시스템 덕분에
01:06수천만 건의 지문을 몇 초 만에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파워풀한 툴이 된 거죠.
01:11패턴 분석이니까 AI가 제일 잘하죠.
01:13그렇습니다.
01:14현재는 법의학에서 딱 3가지가
01:17이 사람이 다르구나 하고 쓰일 수 있어요.
01:19첫 번째가 지문.
01:20두 번째가 DNA.
01:23세 번째가 안구.
01:24치아입니다.
01:25저는 홍채인 줄 알았어요.
01:28홍채에도 쓸 수 있는데
01:30이거는 사람마다 홍채를 구별하기가 좀 어렵고요.
01:33죽은 사람은 또 금방 백탁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01:35확인이 어려워서 활용이 못 돼요.
01:37그렇네.
01:38치아는 시체도 가능하니까 그렇죠?
01:41그렇습니다.
01:42치아는 여러분 보기에는 다 사람마다 똑같지 않나 생각할 수 있는데
01:44치아만 갖고도 사람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어요.
01:49예전에 세월호 때 어떤 분이 도주를 했는데
01:52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매실밭에서 발견된 시신은 유병원 씨가 맞다고 밝혔습니다.
02:04어떻게 우리가 이분이 이분이냐를 확인했느냐
02:09DNA 검사도 했고 지문 검사도 했지만
02:12또 하나 치열
02:13치과의사분한테 이분을 어떻게 치료했는지 모든 걸 얻고
02:19시신을 법치의학자가 또 확인을 하고
02:22이 두 개를 각각 비교를 해보면 똑같다는 걸 확인한 거야
02:25저도 그 자리에서 확인을 했고요.
02:27자 다음 문제 가보겠습니다.
02:39메달 받는 거 아니야?
02:41아 느낌 옵니다.
02:42법약은 우리 안전에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02:46사망한 시체를 부검하면서 사건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고
02:49그걸 예방하기 위한 일들을 가능하게 합니다.
02:521960년대에서 70년대 미국에 자동차가 엄청나게 보급되면서
02:57교통사고 사망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03:00교통사고 사망자들을 일일이 부검을 해봤더니
03:03공통점이 있었어요.
03:04어떤 게 있었냐?
03:05운전대에 의해서 흉부를 강하게 부딪히면서 생기는 심장 파열
03:10앞 유리창에 부딪히면서 머리뼈 골절과 내부장기 파열까지
03:18반복제는 손상 패턴을 수많은 교통사고의 부검을 통해서 알게 됐던 거예요.
03:23이런 상황이 분석되면서 안전벨트 이외에도 차량 안전장치가 개발되게 됩니다.
03:30그래서 생긴 장치가 에어백
03:32에어백이에요.
03:34정확합니다.
03:3470년대 말 미국 교통안전국은 법의학자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03:39에어백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보고서를 발표하게 됩니다.
03:43안전벨트와 함께 에어백이 서졌을 때 사망률은 평균 40% 이상 감소하게 되는데요.
03:49미국에선 에어백을 의무 장착하도록 했고요.
03:52이후 2000년대 초에 한국에서도 에어백 관련 법안들이 도입이 됩니다.
03:58이외에도 법의학적으로 통계를 통해서 탄생한 안전장치가 여러 개가 있는데요.
04:02후방 추돌 시 여러분 목이 꺾이면서
04:04경추 골절을 막아주는 헤드웨스트
04:07목 뒷받침대
04:09사고 다발 유형 운전자 실수 패턴 등을 분석해서
04:14차로 이탈 용로라든지 긴급 제동 장치 등이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04:17네.
04:18네.
04:18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