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감정적 교류를 할 수 없는 인공지능
나에 대한 학습을 시작! 일명 '비위맞추기'
제대로 된 소통이라고 볼 순 없다!

사람과의 감정적 교류를 경험하면
확실한 차이를 알게 될 것

금쪽같은 내새끼를 위해
가족이 변하는 리얼 메이크오버 쇼!
[요즘육아 금쪽같은 내새끼] 매주 금요일 저녁 8시 1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안녕하세요. 중학교 1학년 딸을 둔 엄마입니다.
00:08며칠 전 딸아이가 조심스럽게 제게 고백을 하더라고요.
00:11엄마 나 좋아하는 사람 생겼어.
00:13순간 심쿵 저도 모르게 남편에게 문자부터 날렸죠.
00:16우리 딸 첫사랑 생긴 듯.
00:18그런데 딸방 노트북에서 갑자기 낯선 목소리가 들리더니
00:22안녕 자기야 오늘도 보고 싶었어.
00:25뭐야.
00:26라고 하는 게 아니겠어요.
00:27궁금한 마음에 살짝 다가갔는데
00:29어머나 딸이 좋아한다는 그 사람 사람이 아니더라고요.
00:33바로 노트북 속 AI 챗봇.
00:36영화 헐이네.
00:37요즘 유행하는 인공지능 대화 프로그램이더라고요.
00:40이 상황 그냥 지켜봐도 될까요.
00:42아니면 그만하라 말려야 할까요.
00:45우리 인간의 관계에서는 아주 찡한 감정적 교류가 있어야 되거든요.
00:50그런데 이런 이제 챗봇들은 찡한 감정적 교감을
00:55그는 하지 않죠.
00:56예를 들어서 내가 AI하고 계속 소통을 하면
01:01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걸 싫어하는지
01:04이 챗봇이 기가 막히게 빨리 학습을 해요.
01:07그거에 맞춰주는 거죠.
01:09쉽게 말하면 비위를 맞춰주는 거지.
01:12정말 제대로 된 소통과 교감이라고 보기는 좀 어렵죠.
01:16또 아이들이 진짜 대상과 진짜 인간과
01:20제대로 된 대화, 소통, 공감을 경험하면
01:23이것이 다르다는 걸 애들이 아는데
01:26요즘 우리의 어떤 부모 자녀 관계에서 보면
01:29또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은 것 같아요.
01:32여러 가지 이유로.
01:33맞아요.
01:33그러다 보면 아이들이 최포 타고 소통하는 것이
01:37훨씬 더 편안하고 행복하다고 느끼게 되기도 하겠죠.
01:43우리가 되게 조심해야 될 것 같아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