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7.


신혼희망 타운 분양가
감당못해 포기
분양가가 비싸
신혼부부 전용 디딤돌,보금자리론
대상에서도 제외

활기가 넘치는 '행복한 아침'이 시작됩니다!
'행복한 아침'
월~금 아침 7시 30분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이제 막 시작하는 신혼부부인데요 절망하는 그 이유는 바로 내 집 마련의 벽에 부딪혔기 때문입니다 한 매체에 따르면 내년 1월 결혼을 앞둔 A씨는요 서울대방 신혼희망타운 자녀세대 청약을 알아보다가 7억 7천만원에 달하는 분양가 때문에 결국에 단념을 하고야 말았다고 하는데요 신혼희망타운 이 신혼부부의 선호를 반영한 평면에
00:29구조, 커뮤니티 시설까지 적용한 신혼부부 특화형 공공주택을 말합니다 신혼부부 전용 디딤돌 보금자리론 또한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부부합산소득 7천만원에서 8500만원 이하일 때만 가능한데 7억이 넘어버리면 A씨 부부는 이걸 융통할 자금 여력이 안 되는 거죠 결국에는 부모님 지원 없이는 입주가 어렵게 되는 거라서
00:59금수저 전용이라는 비판도 이미 제기가 되고 있는데요 여러분 한번 생각해 보세요 연봉 7, 8천까지 만들려고 열심히 했고 그런데 7억 넘는 아파트 대출 여력은 사실 잘 벌어야 또 잘 갚을 수 있는 거잖아요
01:16그런데 잘 벌기 때문에 디딤돌이 안 된다 보금자리 안 된다 그런데 연봉 더 낮거나 일 안 하는 다른 친구들 봤을 때 부모님의 자산을 받는 경우는 여기 들어갈 수 있는
01:30그런 모순이 항상 우리의 이런 지원이나 대출 지원 이런 쪽에서 늘 이런 모순이 생기는 것 같아요
01:38그런 것들이 좀 고질적인 문제인 것 같고 그래서 A씨는 이런 정책이 신혼부부에게 절망을 주는 정책인 것 같다면서
01:46오히려 차라리 내가 일을 관두는 게 더 나은가 이런 고민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01:51정말 답답하고 화나는 상황일 텐데 청약 자격은 있는데 대출이 안 돼요
01:57그래서 들어갈 수가 없고 어디 의지할 데도 없다 뭐 이런 얘기인데 다른 신혼부부들은 어때요?
02:04비슷한 것 같아요 그 2023년 신혼부부 통계를 보면은요 전체 신혼부부의 수가 사상 처음 100만 쌍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02:13초곤 부부의 연평균 소득은요 전년보다 7% 늘어났습니다 7,265만 원이었는데
02:20아까 신혼희망타운 분양가가 7억이 넘었잖아요
02:24그러면 7천만 원 넘게 벌고 우리 소득 다 평균적으로 늘었어도 7억 만들기는 힘들다
02:31연소득이 1억 원인 맞벌이 부부가요 매년 소득의 절반을 저축한다고 하더라도
02:37이 7억 7천 만들려면은 15년 정도가 걸리는 걸로 계산이 되거든요
02:43결국에 청년은 또 되는 그러면서 신혼부부는 안 되는 이런 제도적 상황 때문에
02:502024년 기준으로 부부 5쌍 중에 1쌍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계속 그냥 남남으로 머물러 있는 겁니다
02:58이런 장기 미신고 추세는 계속해서 확대되는 추세라고 하고요
03:03이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실효성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하는 반면에
03:08그러면서도 정부가 모든 부담을 또 떠안을 수는 없어서
03:13영구 임대주택 확대 등 실질적 주거 사다리 마련이 병행돼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03:19고용히 elétron이 또펴�rey 마련이 병행돼요
03:30정신� rotation
03:31당해부양 height
03:36어디나
03:36빨리
03:40Nata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