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26.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종묘와 사직을 먼저 건설하자!"
조선 왕조의 심장, 경복궁이 지어지게 된 사연

#전현무 #하석진 #이상엽 #궤도 #황제성 #윤소희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사냥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건 뭐였을 것 같아요?
00:03경복궁.
00:04경복궁?
00:05좋아요. 좋은 접근이었어요.
00:06일단 그거 전에 유교에서 가장 중시한 게 뭐냐면 제사예요, 제사.
00:11와.
00:12종묘.
00:13뭐라고요?
00:13종묘.
00:14그렇죠.
00:15맞습니다.
00:16바로 이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종묘와 사진.
00:20종묘 사진.
00:21그리고 조선완조의 심장?
00:23궁관.
00:24바로 경복궁이었습니다.
00:26만 년토록 빛나는 큰 복을 지닌 궁궁이라는 뜻을 담아서 새 궁궐 이름을 경복궁이라고 지은 겁니다.
00:36공궁.
00:37공궁.
00:38공궁.
00:39공궁.
00:40공궁.
00:41공궁.
00:42공궁.
00:44공궁.
00:45공궁.
00:46공궁.
00:48그래서 앞쪽으로는 한강이 흐르고요, 뒤쪽으로는 산이 둘러싸여 있어서
00:55완벽한 배산 임수의 지형을 가지고 있어요.
00:59이곳에다 이제 궁궁을 지은 겁니다.
01:01특히요, 이 경복궁을 둘러싼 4개의 산.
01:05이 4개의 산이 아주 풍수적으로 너무너무 중요한데.
01:08자, 그럼 여기서 문제를 한번 내보겠습니다.
01:12아, 나 삶 모르는데.
01:14당연히 있으니까.
01:16문제 주세요.
01:20동서남북으로 경복궁을 둘러싸며 지키고 있는 4개의 산은 각각 무엇일까요?
01:25아, 근데 이거 이런 거 어려운데.
01:29와, 어려운데.
01:30니들이 아는 산 다 얘기해 봐. 서울에 뭐 있어?
01:32그거 뭐죠?
01:33인왕산.
01:34인왕산밖에 몰라.
01:35북한산?
01:36북한산.
01:37북한산, 인왕산.
01:37청계산.
01:38헉?
01:40정발산.
01:41정발산 일산에 있는 거 아니에요?
01:43정발산 좀 많이 모르겠다.
01:45아, 맞네. 일산에 있구나.
01:47아, 큰일 났다, 이거.
01:49서울에 있는 산.
01:50관악산.
01:52관악산.
01:53관악산.
01:54오, 관악산.
01:55관악산 맞는 거 같아.
01:56근데 관악산은 너무 미치지 않아?
01:58너무 아래쪽으로.
01:59너무 먼 거 같은데.
02:00관악산 뭐라.
02:01이거 시험에 안 나와?
02:03예.
02:05이게 굉장히 유리한데?
02:07경복궁 근처를 해야 될 거 아니야.
02:10그러니까 경복궁 근처니까 인왕산은 맞지, 그렇지?
02:12인왕산.
02:12그렇지?
02:13경복궁 근처, 뭔 산이 있어?
02:16경복궁 근처에?
02:17아, 우리 대학교에 있는 산이 뭐지?
02:20우리 대학교에 있는 산이 뭐지?
02:23부각산 아니에요, 부각산?
02:24부각산.
02:25부각산이다.
02:25부각산?
02:26부각스카이웨이.
02:27그래!
02:27부각산.
02:28부각산.
02:28그래, 내가 그 대학교 나왔네.
02:30부각스카이웨이.
02:31그래, 그래, 이 녀석아.
02:32거기가 바로.
02:33부각산.
02:33부각산, 인왕산.
02:34야, 내가 산 진짜 모르는데 부각산이 있었어.
02:37아, 첫 문제부터.
02:39아, 거기 그 공원 있는데 그 무슨 산이지?
02:42무슨 공원?
02:43그 막, 대학로 올라가면 있는 그 공원.
02:46아, 그 있잖아요.
02:47그 성벽 있고, 그 공원.
02:50현관?
02:52아, 나 인간 내비게이션인데 이거 잘...
02:57낙산, 낙산 공원.
02:59낙산, 낙산.
03:00낙산이다.
03:01낙산.
03:02낙산이야, 낙산.
03:03그 성벽이 있는데.
03:04낙산이야, 그럼.
03:05아, 잠깐만.
03:05그러면 인왕산, 부각산, 낙산.
03:08근데 남쪽에 있는 산이 뭐지?
03:11남산도 형 맞네.
03:13이런 거 아니에요?
03:14남산 아니야?
03:14남산?
03:15하하하.
03:17이런 거 막 어려운데.
03:18아, 어려운데.
03:18아, 남산도 맞겠네.
03:20남산에도 그 성곽 있잖아요.
03:21남산 그 공원들에도.
03:23성곽 남아있잖아요.
03:24무슨 성곽이?
03:25있어!
03:26내가 아는 형이 거기 건물 갖고 있어가지고
03:28나 그거 보러 간 적 있어.
03:30아니, 형.
03:31이 형이 내가 정확히 기억나는 게
03:33남산 근처에다가
03:35무슨 건물을 샀는데
03:36이 성곽 뷰가 너무 좋대.
03:39그래서 내가 그거를 계속 형이랑 감상하고 온 적이 있어.
03:44생활의, 생활의 정보, 생활의 정보.
03:46얻는 거 같아요.
03:46황재성 씨.
03:47네.
03:48대표로 도전.
03:49정답.
03:50부각산.
03:53인왕산.
03:55낙산.
03:57남산.
04:00자, 정답은.
04:02자, 제발 정답은.
04:04화면으로 확인해.
04:07보겠습니다.
04:10남산.
04:11남산 맞았어.
04:13남산 일단 맞아.
04:14남산.
04:15남산.
04:16우각산.
04:17우각산.
04:18우각산.
04:19우각산.
04:20우각산.
04:21우각산.
04:22우각산.
04:23우각산.
04:24우각산.
04:25남산.
04:26남산.
04:27남산.
04:28이거 어떡해.
04:29대단하다.
04:30이거 이거.
04:31낙산.
04:32우와, 이거 보이시는 낙산.
04:33낙산.
04:34남산의 건물 형한테 영상편지 한번 써.
04:38형, 일단 너무 축하하고.
04:39기운 좋은 데다가 건물을 하니까 공신율이 없지.
04:41그러네.
04:42축하해요.
04:44야, 그 형의 성격뷰 아니었으면.
04:47네, 성격뷰.
04:48소희가 큰 역할을 했다, 낙산공원.
04:50낙산은 우리 아예 전부 없었잖아요.
04:52황재성, 윤소의 덕이야.
04:54윤상공원.
04:55정답은.
04:56구각산.
04:57우와.
04:58인왕산.
04:59대박.
05:00낙산.
05:01도름.
05:02남산.
05:03와.
05:04저 아까 소희 씨.
05:05딱 접히면 저 소름 돋았잖아요.
05:07아, 진짜요? 너무 다행이에요.
05:08거기는 그.
05:09야, 그걸 찾아내셨어요.
05:10그러니까.
05:11남산의 원래 이름은 목멱산.
05:13목멱산이었는데.
05:15경복궁이 지어지고 궁궐 남쪽에 있는 산이라고 해가지고.
05:18남산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05:20이 경복궁을 둘러싼 이 네 개의 산을.
05:23우리가 사신산이라고 이야기를 해요.
05:26동서남북 그 네 방위를 수호한다는 뜻인데 북쪽의 부각산은 그 신령한 존재인 현무.
05:34현무다.
05:35현무.
05:36우리 현무가 지키고 있고요.
05:38북현무 남주작.
05:39남쪽의 남산은 붉은 봉황인 주작.
05:42그리고 동쪽의 낙산은 좌청룡.
05:45서쪽의 인왕산은 우백호.
05:48왜 좌청룡 우백호라는 말 하지 않습니까?
05:51네.
05:52이렇게 풍수지리에서 사신산이 규명 있게 배치된 곳은요.
05:55국가의 수도를 두기에 적합한 명당이다.
05:58라고 이제 이때 사람들은 판단한 것이죠.
06:01그러니까 무엇 하나 허투루 하지 않고요.
06:04완벽한 그 위치 선정에 유교적 이상까지 담아가지고.
06:08한양 땅에 무려 500년 역사를 이어갈 조선의 첫 궁궐을 지은 겁니다.
06:15이야, 이게 과학이다 과학.
06:17풍수지리는 과학 아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