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면허정지 현실화…의대교수들 내주부터 근무 축소

  • 2개월 전
전공의 면허정지 현실화…의대교수들 내주부터 근무 축소
[뉴스리뷰]

[앵커]

정부가 전공의 달래기에 나서면서도 '면허정지' 처분을 경고하며 복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강력 반발하면서도 전공의들의 피해를 우려하며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홍서현 기자입니다.

[기자]

의대 증원 배분 결과를 발표한 정부는 전공의 처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과도한 연속 근무 시간을 단축하고, 수련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하고 있는 전공의들을 달래는 동시에,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은 절차대로 진행할 방침입니다.

다음 주부터는 최종적으로 면허가 정지되는 전공의가 나올 전망입니다.

"정부는 업무개시명령 위반에 대해서는 다음 주부터 원칙대로 면허 자격 정지 처분을 해나갈 것입니다."

서울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국가적인 필수의료 공백 사태가 야기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전공의 1년차부터 4년차까지 모두 병원을 떠난 만큼, 입학 정원을 늘리더라도 10년간 의료 공백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겁니다.

대한의사협회는 "성심을 다해 의정협의에 임했던 의사들을 철저히 무시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앞으로 발생하게 될 모든 문제는 의사들의 간절한 외침을 철저하게 짓밟은 정부에 있음을 명확히 밝혀 둡니다."

39개 의과대학 교수들은 오는 25일부터 주 52시간만 근무하고, 다음달 1일부터는 외래진료를 축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생명을 담보로 일하는 사람들이 그 생명이 다칠까봐 우려해서 선택한 일이라는 것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까지는 막아야 한다며, '대화론'도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의료계가 정부의 대학별 정원 배정 발표를 기점으로 대화냐 투쟁이냐 갈림길에 선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인 의협 회장 선출을 계기로 대정부 투쟁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 (hsseo@yna.co.kr)

[영상취재 김동화 진교훈 권혁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