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역대 최대'…소득, 전체 평균의 절반 안돼

  • 5개월 전
1인 가구 '역대 최대'…소득, 전체 평균의 절반 안돼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 혼자 사는 가구의 비중이 또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혼자 살든 여럿이 살든 잘 사는 게 중요할 텐데요.

1인 가구들 형편이 더 팍팍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은나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이 전체의 34.5%를 기록했습니다.

2005년 20% 수준이었던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 30%를 넘어선 후에도 해마다 늘어 매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혼자 사는 비중은 29세 이하 청년층이 가장 많았고, 이어 70세 이상, 30대 등 순이었습니다.

성별로는 사정이 다소 달랐는데, 여성은 70세 이상, 남성은 30대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남자는 결혼이 늦어져서 30대에서, 여자는 기대 수명이 남자보다 높아 70세 이상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았습니다."

1인 가구의 지난해 연 소득은 3천10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의 절반에 못 미쳤고, 3천만원 미만 비중이 60%가 넘었습니다.

1인 가구의 자산은 줄고, 부채는 늘었습니다.

올해 기준 1인 가구 자산은 1년 전보다 0.8% 감소한 2억949만 원, 부채는 1.9% 늘어난 3,651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 가구의 54.6%는 12평 이하에 살고 있고, 주택 소유 비율은 30.9%로 나타나 전체 가구의 56.2%보다 크게 낮았습니다.

"내 집 마련을 못하시는 분들도 많아지고, 그러면서 출산율도 내려가요. 원인관계는 아니겠지만, 상관관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지난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169만9천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123만5천가구로 전체의 72.6%를 차지했습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rae@yna.co.kr)

#1인가구 #통계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