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동결자금 이전…정부, 이란 이자 요구엔 "취지 맞지 않아"

  • 8개월 전
이란 동결자금 이전…정부, 이란 이자 요구엔 "취지 맞지 않아"

[앵커]

2018년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가 다시 시작된 이후 우리나라에 있던 이란의 원화 계좌는 모두 동결상태였습니다.

최근 미국과 이란이 수감자 맞교환에 합의하며 한국 내 이란의 동결자금 해제에도 합의했는데요.

이에 따라 우리나라 은행에 묶여 있던 이란의 자금이 제3국으로 이전됐습니다.

최지원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은행에 묶여 있던 이란의 동결자금이 제3국으로 완전히 이전됐다고 외교부가 밝혔습니다.

지난 2019년 5월부터 묶여있던 이 자금은 카타르의 상업은행으로 이체됐고, 그곳에서 식료품이나 의료품, 의료기기 구입 등 인도적 목적을 위해 쓰이게 됩니다.

외교부는 "카타르도 인도적 교역 시스템을 무리 없이 운영하도록 우리의 교역 경험을 카타르에 공유했다"고 밝혔습니다.

원화였던 동결자금이 유로로 환전돼 카타르에 입금됐기 때문에, 정부는 제3국에서의 의료품 조달 등 이란에 인도적 지원이 용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이란과의 최대 현안이 해결됐다며, 우호적 관계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이란의 이자 지급 요구는 양국 관계 전환에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이란이 5년간 한국 금융기관이 부당하게 이자 소득을 얻었다며 법적 절차까지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동결자금 이전과 관련된 모든 세부사항은 이미 유관국들 간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진 것임을 강조해서 말씀드립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추가 손실 보전을 거론하는 건 합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2018년 미국의 대이란 제재 복원으로 한국 기업들이 받지 못한 미수금 문제가 남은 것에 대해서는 지급까지 상당한 시일과 절차가 걸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 (jiwoner@yna.co.kr)

#이란 #동결자금 #경제제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