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면적 확대에 달걀 수급 우려…이제야 실태조사

  • 11개월 전
사육면적 확대에 달걀 수급 우려…이제야 실태조사

[앵커]

달걀을 낳는 산란계의 사육 면적을 지금보다 50% 늘려야 하는 제도가 도입됩니다.

제한된 시설에서 키울 수 있는 마릿수가 줄어 달걀 생산량도 줄고 값도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이제서야 실태 조사에 나서 달걀 수급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문형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달걀을 낳는 산란계 1마리당 사육면적은 현재 0.05㎡, 하지만 내년 2월부터 0.075㎡로 확대됩니다.

2018년 동물 복지 향상을 위해 '축산법 시행령'이 개정된 결과입니다.

내년 2월 입식되는 산란계부터 이 기준이 적용되고, 2025년 9월 전면 도입됩니다.

현재 산란계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직립식 케이지는 1칸당 평균 7~10마리가 사육됩니다.

개정된 기준을 적용하면 1칸당 사육마릿수와, 달걀 생산량은 30%가량 줄게 됩니다.

달걀 공급량 감소와 함께 또 한 번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대목입니다.

"AI(조류 인플루엔자)가 2015년 엄청 세게 와서 '금계란'이라고 1만원, 2만원 했잖아요. 그때도 수급 조절 못했는데…"

여기다 새 기준을 맞추자면 농가는 사육시설 개보수에 나서야 하는데, 비용 증가로 또 다른 달걀 가격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정이 이렇지만 정부는 이제야 산하 기관을 통해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실태 조사를) 이제 진행을 하는 거죠. 아직 된 건 없고…거기에 맞춰서 (추가) 연구를 해야죠."

개정안의 파급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빨라야 오는 12월에 나옵니다.

'달걀대란'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늦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 (moonbro@yna.co.kr)

#달걀대란 #산란계_사육면적확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