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전국 아파트값 반등…힘 받는 '집값 바닥론'

  • 10개월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전국 아파트값 반등…힘 받는 '집값 바닥론'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02% 오르며 반등했습니다. 전국 아파트값이 오른 것은 지난해 1월 이후 1년 6개월 만인데요. 상승세로 전환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역시 상승세를 보이며 집값이 바닥을 찍은 게 아니냐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 어떻습니까? 전세시장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던데요?

한편, 수도권 아파트값은 오르고 있지만 지방 아파트값은 0.03% 하락하며 수도권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현재 46.8세에서 2050년 53.7세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습니다. 같은 기간 OECD의 취업자 예상 평균 연령인 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였는데 뭐라고 정의를 할 수 있을까요? 저출산도 심화되고 있는데 취업자 고령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 빨라질 수도 있을까요?

20~30대 취업자 비중 감소는 고부가 산업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고 국가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어떤 처방이 필요하다 보세요?

간밤에 테슬라 주식이 10% 가까이 하락하면서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의 개인 재산도 하루 새 26조 원 가까이 증발했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

테슬라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뉴욕 증시의 다른 기술주들도 대부분 하락하며 재벌들의 순자산 가치 또한 하락했는데요. 기술주들이 특히 약세를 보인 원인은 무엇인가요?

다음 주 FOMC 앞두고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 기대를 높이고 있는데요.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증시 여파는 어떨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