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스마트화' 규제완화…로봇 활용 늘린다

  • 작년
건설업 '스마트화' 규제완화…로봇 활용 늘린다

[앵커]

정부가 스마트 건설기술의 현장 도입을 늘리기 위해 관련 규제 완화에 나섭니다.

사람대신 기계가 일하는 건설현장을 만드는 것인데요.

일각에선 최근 갈등을 겪고 있는 건설노조의 입지를 줄이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는 것 아니냔 해석도 나옵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건설기계의 네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머신 가이던스'와 알아서 일하게 하는 '머신 컨트롤'.

이런 스마트 건설기술을 바탕으로 바닥판을 설치하고 외벽 도색 작업을 하는 로봇들.

국토교통부가 이런 스마트 기술의 현장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스마트 건설기술의 품질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현장 투입에 어려운 점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건설기계 자동 제어와 기계 운전자 보조 장치 기준을 표준 시공기준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일부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은 공사비 산정 기준이 없어 총사업비에 반영하지 못하기도 했는데, 이제 원가 산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안전관리계획서도 핵심 항목 위주로 간소화해 서류작성에 드는 시간을 줄입니다.

"스마트 건설 기술의 시공·안전 기준과 원가 산정 기준을 신속히 마련하여 건설 현장에 빠르게 적용·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더 효율적인 건설 현장을 만들겠단 건데, 일각에선 최근 갈등을 빚고 있는 건설노조의 입지를 줄이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는 것 아니냔 분석이 나옵니다.

"그런 문제들은 내재되어 있을 수 있겠죠. 마차 산업, 자동차 산업 전환 과정처럼 또 새로운 일자리들이 생겨나겠죠."

최근 국토부는 건설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기사들에게 관행적으로 임금 외 제공됐던 월례비를 근절하겠다며 조사에 착수했고, 건설노조는 원희룡 장관을 모욕·명예훼손·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

#건설현장 #스마트화 #인공지능 #건설노조 #월례비 #국토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