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국민적 트라우마' 우려‥대응법은?

  • 2년 전
◀ 앵커 ▶

이번 사고와 관련해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선 '국민적 트라우마'까지 우려된다는 성명서도 발표했습니다. 이번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정신건강의학 김지용 전문의와 함께하겠습니다. 사고를 직접 경험한 분들의 충격은 정말 상당할 것 같은데요. 이걸 어느 정도로 분석하고 계십니까?

◀ 김지용/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저희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충격일 수밖에 없고요.

생각을 해보면 저희 중 누구도 살면서 이런 정도의 충격적 현장을 접한 사람은 없잖아요.

이 정도의 외상성 경험을 하게 되면 그것들이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

보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라 하면 교통사고나 낙사와 같은 이런 특별한 사건을 경험한 이후에 생길 수 있는데 그런 사건들도 생각해보면 순간적이잖아요.

그에 반해서 이번 이태원 사건은 몇십 분, 몇 시간 동안 이어지는 걸 경험했기 때문에 뇌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요.

그 사건에 직접 피해자분들, 그리고 그때 사건을 도우러 참여하셨던 소방관, 경찰관분들 역시 이런 정신 걱정에 대한 앞으로의 염려가 됩니다.

◀ 앵커 ▶

사고가 심리적인 문제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런 분석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 김지용/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아무래도 많은 곳에서 좀 추측하듯이 코로나 시기에 좀 짓눌렸던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은 욕구가 폭발적으로 분출되면서 평소보다 더 많은 사람이 몰렸을 것이다. 그리고 더 활동적으로 됐을 것이라는 건 우리가 추측할 수 있고요. 그런 이런 사건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이 현장에서는 우리 뇌에서 감정과 공포를 반응하는 뇌의 무기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이성적으로 반응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다 같이 집단 패닉에 빠졌을 거고요.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좀 질서정연하게 행동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죠.

◀ 앵커 ▶

집단 패닉, 공항상태에 빠졌을 것이다. 많은 분이 장기적으로 큰 후유증이 남을 것 같습니다.

◀ 김지용/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아까 말씀드린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정말 무서운 건 그 당시, 직후에는 괜찮을 수 있어요. 게다가 누군가에게나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다 이게 그냥 이러다 괜찮아지겠지라고 지나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 3일까지 이런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정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게 3일을 넘어서도 계속해서 악몽을 꾸거나 그 당시의 상황이 반복적으로 머릿속에 떠오르면서 재경험하거나 사람들 많은 곳을 피하거나 이것이 3일 이상 지속되면 급성 스트레스 장애, 한 달이 넘어서도 지속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보게 되거든요. 그런데 이런 PTSD는 또 1년이 지난 시점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괜찮다고 해서 방심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관리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 앵커 ▶

이런 분들한테는 지원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요?

◀ 김지용/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아무래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게 흔한 질환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또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누구나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경시하고 질병인 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들이 많아요. 그래서 이런 것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리고 사회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 꼭 치료를 받으라고 정부 차원 그리고 시민단체 차원에서 더 널리 알리는 게 필요하고요. 그리고 실제로 심리치료가 아무래도 정신건강의학이 문턱이 높기 때문에 사람들이 쉽게 들어가지 못하는데 더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앵커 ▶

지원 시스템은 어떤 게 있습니까, 공공에서?

◀ 김지용/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 광고 ##세월호 사건 이후에는 그래도 국가 트라우마 센터가 만들어졌고요.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회복지원인력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조만간 재난 회복 지원 프로그램이 실행이 될 겁니다. 그래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사분들이 포함된 심리 지원단이 투입될 준비를 하고 있고요. 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