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자 만난 박진‥미뤄진 대법원 판결

  • 2년 전
◀ 앵커 ▶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을 언제 시작할 지 사건을 맡았던 대법관이 결론을 내리지 않고 결국 퇴임을 해 버렸습니다.

일본 기업의 자산 압류가 미뤄지게 됐는데, 오늘 박진 외교부 장관이 처음으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만났습니다.

서혜연 기자가 전해 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일본제철 강제동원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의 자택.

박진 외교부 장관이 이 할아버지의 손을 잡고 인사를 한 뒤 바닥에 앉습니다.

## 광고 ##큰 절까지 한 박 장관에게 이 할아버지는 살아 있을 때 재판 결과를 보고 싶고, 일본의 사과도 받고 싶다고 호소했습니다.

17살이던 1941년, 기술을 배울 수 있다는 말에 보국대에 지원해 하루 12시간씩 중노동을 했던 할아버지는 이제 100살이 넘었습니다.

[이춘식/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생전에 살아 있을 때 일본에서 사과도 나한테 하고 첫째는 그거까지는 전부 보상을 못 받았으니까."

초등학교 6학년때 미쓰비시 중공업 근로정신대에 강제 동원됐던 양금덕 할머니는 전하고픈 말을 손편지로 작성해 박 장관에게 건넸습니다.

양 할머니는 "대법원에서 승소했다는 소리를 듣고 너무도 기뻤지만, 그런데도 몇 년째 우리 정부는 무슨 말 한마디 못하고 있다"며 정부에 문제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양금덕/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장관님을 만나서 이런 말이라도 내가 마음 품고 있는 마음을 이렇게라도 함께 이제 조금 숨통이 터진 것 같습니다."

5·18 민주묘지에 있는 김혜옥 할머니 묘지까지 참배한 박 장관은 피해자들의 입장을 일본 측에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외교적 노력을 하고 있다며 대법원에 제출했던 의견서는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해 피해자 지원단체는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박진/외교부 장관]
"(피해자들은 판결을 미뤄달라 한 것) 아니냐라고 생각을 하고 계시는데 그거는 아닙니다. 법원의 판결에 영향을 주거나 관여한 것이 전혀 아닙니다."

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을 시작할지를 결정할 재판의 주심을 맡았던 김재형 대법관은 결론을 내리지 않고 오늘 대법원을 떠났습니다.

정부로선 배상금을 우리 정부가 지원하는 등의 해법을 검토할 시간은 얻은 셈이지만 사과조차 검토하지 않는 일본의 태도는 여전합니다.

피해자들을 직접 만난 박진 장관은 이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부안을 마련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오는 5일 4차 민관협의회를 열고, 정부안 마무리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서혜연입니다.

영상취재: 김신영 / 영상편집: 이상민영상취재: 김신영 / 영상편집: 이상민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