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4조 피해 매미 닮은 힌남노‥5000만원짜리 침수지도 꺼내라

  • 2년 전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태풍 힌남노가 북상 중인 가운데 '폭풍 해일 해안 침수 예상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중앙일보입니다.

◀ 앵커 ▶

현재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예상 진로는 2003년 9월 4조 원의 재산 피해를 낳은 태풍 '매미'와 유사하다는데요.

당시 피해 사례를 짚어보고 미리 대비한다면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작성한 '폭풍 해일 해안침수 예상도'가 있는데요.

50년, 100년, 150년, 200년 빈도의 해일이 발생했을 때 각각 예상되는 침수 범위와 침수 수심, 해일높이, 대피 경로 등을 담았고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연안을 179구역으로 나눠 지도를 작성해 해당 지자체에 전달했다고 합니다.

부산시의 경우 이런 침수 예상지도를 활용해 시청 홈페이지에서 시민들에게 해안 침수 예상 지역 등을 알려주고 있는데요.

하지만 침수 예상지도의 존재나 활용 방안을 모르는 지자체도 많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경향신문입니다.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서울 강남역 사거리 일대와 관악구 신림역, 도림천 주변 빗물받이 현황을 살펴봤는데요.

대로변의 빗물받이는 태풍 대비로 잘 정비된 반면, 음식점과 술집 등이 밀접한 이면도로의 빗물받이 상당수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기사입니다.

신림역 4번 출구 일대 30여 개의 빗물받이는 담배 꽁초 같은 쓰레기로 막혀 있었고요.

일부 가게 앞에는 덮개나 음식물 쓰레기통이 놓인 채 방치돼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대로변을 벗어나면 여전히 빗물받이가 관리되지 않는 '행정 공백'이 드러난 만큼, '내 집 앞 눈치우기'처럼 시민 동참을 유도하는 방안과 잦은 집중호우에 대비해 빗물받이 크기를 키우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앵커 ▶

## 광고 ##이어서 동아일보입니다.

전세 수요가 줄어들고 전셋값 하락이 계속되면서, 집주인이 전세 기간이 끝나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이른바 '역전세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전세 계약이 만료된 뒤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은 사고 액수는 올해 7월 872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인데요.

이런 상황은 주로 여유자금이 없는 '갭 투자자'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집주인이 계약 기간을 8년으로 설정한 경우도 등장했다는데요.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대출 이자가 급등하면서 '전세의 월세화'가 빠른 속도로 이뤄진 영향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하반기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우리나라 20~40대의 대장암 발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는 소식입니다.

미국 콜로라도대 안슈츠 메디컬센터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나라 20~49세의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2.9명으로 조사 대상 42개국 중 1위로 나타났는데요.

대장암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도 4.2%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원인으로는 짧은 기간에 서구화된 식습관, 젊은 층의 비만 증가와 운동 부족, 경각심 부족에 따른 초진 지연 등이 꼽히는데요.

50세 이하라도 혈변, 빈혈, 가늘어진 변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대장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경향신문입니다.

탄소세와 관련된 첫 정부 용역 보고서인 '탄소가격 부과체계 개편방안 연구'를 분석한 기사입니다.

연구진은 탄소의 사회적 비용을 1톤당 5만5,400원으로 산정했는데요.

이를 지난해 배출한 온실가스 6억7천여톤에 적용하면 전체 사회적 비용은 38조원에 육박합니다.

신문은 탄소세 도입이 절실한 이유라고 지적했는데요.

탄소가격을 적절히 산정해 기업 등에 부과하면 탄소배출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사회, 경제적 비용을 생산 비용에 반영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발전이나 산업부문에는 기존의 배출권거래제 강화를, 수송, 건물 분야에는 탄소세 신규 도입을 제안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