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누리호, 마침내 우주로…세계 7번째 위성 발사국 도약

  • 2년 전
[뉴스프라임] 누리호, 마침내 우주로…세계 7번째 위성 발사국 도약

■ 방송 :2022년 6월 21일 (화)
■ 진행 : 성승환, 이나연 앵커
■ 출연 : 이형진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전문가와 함께 누리호 발사 성공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형진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와 나와 계십니다.

어서 오세요.

누리호가 2차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항공우주공학을 연구하는 분으로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비상하는 모습을 남다르게 보셨을 것 같은데요?

지난 1차 발사 때 절반의 성공이란 평가가 나왔었는데, 이번엔 완전한 성공이라 볼 수 있을까요?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으로 얻은 가장 큰 수확은 무엇인가요?

누리호 이륙부터 1단과 페어링, 2단이 차례대로 분리되며 비행 되는 동안 가장 눈여겨본 단계는요?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되어 있는데요. 앞으로 이를 통해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나요?

우주 발사체 기술은 국제 규범에 따라 국가 간 기술 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분야라고 하던데, 그럼 누리호처럼 자력으로 개발하는 것 외에는 보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누리호 개발 과정을 지켜보시면서'이건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싶은 부분도 있었을까요?

1992년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에 성공한 지 30년 만에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를 쏘아 올리게 됐는데, 이제 한국의 우주산업은 세계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다고 보면 될까요?

우주 개발 선진국과 기술 간극을 좁히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이후에도 추가로 4번의 발사가 예정돼 있는데요. 오늘 발사 때와 다른 점이 있습니까?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으로 우주 개발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기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뉴 스페이스' 시대를 이끌기 위해선 우주 부문을 총괄하는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는데, 이와 관련된 전문가로서 어떻게 생각하시지요?

오는 8월에 '다누리'란 이름이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이 우주로 향하는데, 이 또한 우리나라의 우주 탐사 능력의 시험대가 되지 않겠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