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정치보복” 반발…한동훈 “국민들 동의 안해”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20~19:00)
■ 방송일 : 2022년 6월 16일 (목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준일 뉴스톱 대표,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장예찬 전 대통령직 인수위 청년소통TF 단장,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

[김종석 앵커]
오늘 한 행사에 참석한 한동훈 장관인데 중대한 범죄 수사를 보복이라고 한다면 국민께서 전혀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국민 세금으로 월급 받는 것이고 수사 제대로 하라고.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 없다. 바로 한동훈 장관이 맞받아쳤네요?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그러니까요. 지금 우상호 위원장이 이야기하고 있는 정치 보복이다. 그러면 이게 만약 정치 보복이면 검찰, 경찰이 있을 필요가 없죠. 경찰, 검찰을 우리가 왜 두겠습니까. 범죄 혐의가 있으면 수사하라고 두는 게 바로 경찰, 검찰의 존재 이유 아니겠어요? 존재 이유를 망각하면 거의 그 조직이 있을 필요가 없는 거죠. 더군다나 지금 수사하고 있는 수사들은 이게 지금 뭐 검찰이 처음 수사하는 수사가 아닙니다? 아시겠지만 이미 백현동, 그 대장동 같은 경우는 이미 수사되어서 이미 재판까지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른 수사도 마찬가지예요. 블랙리스트 수사 이미 3년 전에 시작된 수사입니다. 그 수사를 지금 계속적으로 하고 있는 거죠. 혐의가 있는데 수사를 안 하면 검찰, 한동훈 장관 바로 직무유기로 처벌받지 않겠습니까.

이제 그런 상황이니까 물론 뭐 지금 우상호 위원장 입장에선 이걸 정치보복이라고 이야기하는데 그렇다면 그동안 문재인 정부에 있었던 많은 수사들도 다 정치 보복인가요? 정치인만 끼면 무조건 정치 보복인가요? 정치인은 뭐 예를 들어서 완전히 면제권을 타고 태어난 것도 아니지 않습니까. 마찬가지로 이게 예를 들어서 수사를 뭔가 정치적 의도를 따라서 부풀린다거나 이렇게 했을 때는 정치 보복이라는 말을 쓰겠지만 지금 버젓이 저 피고인들이 재판받고 있고 이미 수년 전에 수사했던 내용들 수사하고 있는 걸 가지고 정치 보복 이야기하면 많은 국민들이 설득력이 없을 겁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윤하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