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서 맞선 남북…"도발 중단" vs "주권국 권리"

  • 2년 전
유엔서 맞선 남북…"도발 중단" vs "주권국 권리"

[앵커]

북한의 잇단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제재 문제를 놓고 남북이 유엔 총회에서 충돌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즉각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 협상에 응할 것을 촉구했고 북한은 미사일 시험은 주권국가의 권리라고 맞섰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이경희 특파원.

[기자]

네, 중국과 러시아의 추가제재 거부권 행사 문제를 논의하는 위해 소집된 유엔총회 회의가 열렸는데요.

이 자리에서 남북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한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안보리 결의 채택 불발을 비판한 반면 북한은 합법적인 자위권 행사라는 주장을 반복하면서 결의안을 주도한 미국과 지지한 나라들을 향해 날을 세웠습니다.

"한국은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합니다. 우리는 북한에 도발을 멈추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와 대화 요청에 응할 것을 촉구합니다."

"(미국이 추진한 결의안 채택 시도는) 유엔 헌장과 국제법 정신에 위배된 불법 행위로 단호히 반대하고 비판합니다. 자위권 행사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주권국가의 적법한 권리입니다."

한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13개 안보리 이사국이 추가 제재 결의안에 찬성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북한의 계속된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는데요.

그러면서도 "북한의 반복적인 도발과 위협에도 불구하고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고 코로나19에 대한 무조건적인 원조의 손길을 계속 내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북한은 주로 미국을 겨냥했는데요. 2차 대전 이후 10개 이상의 나라를 침략하고 50개 이상의 합법 정부를 전복하는 데 관여하고, 무고한 시민 수십만 명을 죽인 유일한 유엔 회원국은 다름 아닌 미국이라면서 유엔은 왜 미국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규탄하지 않느냐고 반문했습니다.

김 성 북한 대사는 연설에서 한국은 직접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앵커]

결의안 채택에 반대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는 이날도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를 요구하며 미국의 책임론을 주장했다고요?

[기자]

네, 중국과 러시아는 지난달 2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는데요.

오늘 거부권 행사 이유를 설명하는 자리에서도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 필요성을 주장하며 국제사회에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특히 중국은 미국이 북한을 대하는 태도를 문제 삼았는데요.

장쥔 주유엔 중국대사는 "한반도 상황이 긴박해지는 건 주로 미국의 정책 뒤집기 때문"이라면서 "미국은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준비가 됐다고 말만 하지 말고 행동에 나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제재 완화와 연합 군사훈련 중단 등을 언급했습니다.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을 거부한 것도 제재 대신 의장성명 채택하자고 대안을 제시했으나 미국이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반대표 말고는 다른 선택이 없었다며 미국이 한반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어 발언에 나선 주유엔 러시아 차석대사도 "새 제재 결의안은 북한의 복잡한 인도주의적 상황을 더 악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하지 않았다"며 "지난 1년간 한반도 상황은 더 악화했고 제재 패러다임은 지역 안보 보장에 실패했다"고 힘을 보탰습니다.

한편 백악관은 북한의 핵실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의지도 거듭 확인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유엔총회 #안보리_결의안 #북한_도발 #ICBM #한반도_비핵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