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우크라이나 전운에 뉴욕증시↓…유가·금값 급등

  • 2년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우크라이나 전운에 뉴욕증시↓…유가·금값 급등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친러시아 지역의 분리독립을 선포하고 파병을 결정하는 등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며 유가와 금값은 치솟고 뉴욕증시는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에 파장은 없을지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러시아와 서방국가들의 갈등이 세계 증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증시는 하락 마감한 반면 코스피는 상승 출발을 했는데 다른 모습을 보인 이유는 뭘까요?

미국과 EU 국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고 보고 제재 조치를 속속 발표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타격이 우려되는 원유와 안전자산인 국제금값, 원자재 가격들이 오르는 등 위기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는데 경제적 파장은 어떤 수준일까요?

유가가 상승하면 수입물가도 오르고 인플레이션의 속도도 빨라질 수 있는만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긴장 고조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고 대비하고 있나요?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내일 개최됩니다. 이미 세 차례 올린만큼 추가 인상은 없을거란 의견과 3%대 물가가 4개월째 이어지는 상황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관심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이른바 '영끌'로 주택을 산 2030세대의 부담도 크게 늘어날거란 우려도 있지만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과도하게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견해도 있는데요?

홍남기 부총리가 "주택시장이 변곡점을 지나 추세적 하향 안정 국면에 진입했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부동산 매매와 전월세 시장 동향은 어떻습니까?

강남권 고가 아파트는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흐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포 아크로리버파크에서 2개월 만에 또 최고가 거래가 성사되며 근처 매도 호가도 일제히 오른건데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