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치료제 40만 명분 계약‥내년 2월부터 도입

  • 2년 전
◀ 앵커 ▶

알약으로 된 코로나19 치료제가 내년 2월부터 국내에 도입됩니다.

정부는 40만 명 분을 확보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로 구매한다는 계획입니다.

박윤수 기잡니다.

◀ 리포트 ▶

정부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 4천 명 분의 도입을 결정하고 구매를 추진해왔습니다.

이미 MSD사와 20만 명분, 화이자사와 7만 명분의 선구매 계약을 마쳤고 남은 물량에 대해서도 이 달안에 계약을 확정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확진자 발생 상황에 따라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옵션 계약도 체결했습니다.

먹는 치료제는 내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되는데 고위험군 확진자에게 발병 초기에 투여될 예정입니다.

[정기석/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입원이 절반 혹은 90%까지 준다고 나와 있기 때문에, 확실한 기대를 할 수 있는 그런 약이고요. (외래에서 진단을 받고) 약을 받아서 다니면서 치료를 할 수 있는, 굉장히 편한 거죠."

다른 백신보다 돌파 감염 비율이 높은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한 추가접종도 시작됐습니다.

## 광고 ##대상자는 대부분 지난 6월 미국이 제공한 물량을 접종 받은 30-40대 남성으로, 추가 접종은 모더나 백신으로 진행됩니다.

정부는 얀센 외에 다른 백신의 추가접종 시기는 접종 완료 6개월 뒤에서 5개월 뒤로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접종 완료 뒤 5개월이 지난 사람보다 추가 접종한 사람의 입원확률이 93%, 사망 위험도도 81% 낮아지는 효과가 외국 사례에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12월 중순 전후로 백신 접종 완료율 80%를 달성할 걸로 예상했습니다.

최종 접종 완료율은 85%를 넘기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현재 저희가 12세 이상이 접종을 받을 수 있는데요, 12세 이상이 한 93%를 맞아야 전 국민 대상으로 85%가 되기 때문에…"

또 접종이 주로 화이자와 모더나로 진행되면서 유효기간이 임박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 77만 회분은 재외 동포가 많은 국가에 공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박윤수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