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청소년 감염…"전면등교 구체적 기준 필요"

  • 3년 전
치솟는 청소년 감염…"전면등교 구체적 기준 필요"

[앵커]

전국 유초중고교가 오는 22일 전면등교를 앞둔 가운데 청소년 감염이 급증하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학교별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지만, 전면등교 실행 여부를 학교 재량에만 맡겨둔 건 무책임하단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코로나19 전체 확진자 중 19세 이하의 비율은 24.6%입니다.

9월 마지막 주 5.3%에서 거의 5배 가까이 올라 확진자 4명 중 1명꼴이 된 겁니다.

청소년 감염 비율이 치솟는 가운데 22일 시작되는 유치원, 초·중·고교의 전면등교와 관련해 학생 감염 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일단은 전면등교를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으로, 감염 상황에 따라 등교 규모를 학교가 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수능 이후에 고3을 포함해서 전면 등교가 가능하고, 학교 여건에 따라서 일부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일선에서는 등교에 대한 '학교 재량 지침'이 혼선을 부추길 수 있다며 정확한 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능 이후 대학별 면접, 논술 고사를 앞둔 고3 학생들도 전면등교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에 대한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현재까지 서울 주요 11개 대학 수시전형 응시 규정에 따르면 확진자는 실기와 논술고사를 볼 수 없게 돼 있어 등교 여부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학교 재량껏 해야된다는 것은 굉장히 무책임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감염병 수준에 따라서 학교가 어떻게 대응을 해야 될지에 대해서 분명한 기준을 마련을 해주셔야 된다고…"

교육부는 만약 전국적으로 유행이 급증하면 가동할 등교 밀집도를 제한하는 '비상계획' 세부 기준을 논의 중인데 전면등교에 대한 일선의 불안감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