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가상자산 시장‥'오징어게임' 흥행질주
  • 3년 전
◀ 앵커 ▶

파산설에 휩싸인 헝다에 이어 모든 가상자산을 불법 금융활동으로 규정한 중국 정부의 조치까지 중국발 이슈가 연일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는데요.

미국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어떤지 실리콘밸리 현지 언론인 연결해보겠습니다.

손재권 대표님 안녕하십니까?

◀ 손재권 / 더밀크 대표 ▶

안녕하세요.

◀ 앵커 ▶

중국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관련 모든 거래가 불법이라고 단속 의지를 밝혔다면서요.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그곳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 손재권 / 더밀크 대표 ▶

지난 24일이었는데요.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은 암호화폐 지침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형식의 공지에서 암호화폐와 관련된 거래는 모두 불법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암호화폐 매매에서부터 암호화폐 발행을 위한 자금 조달이나 파생상품 거래까지 모든 관련 금융 활동을 불법으로 규정했구요.

외국 거래소가 인터넷을 통해 중국 투자자에게 암호화폐 거래를 제공하는 것도 철저히 단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비트코인의 가격이 5% 가량 떨어지고 이더리움 등 다른 코인들은 한때 8%까지 폭락했습니다.

지금 이 시각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보다 1.87% 떨어진 4만2062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일단 암호화폐 시장을 키운 중국인들에게 발등의 불이 떨어졌는데요.

중국 부자들은 세금을 회피하고 자산을 은닉하기 위해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많은 투자를 했는데 이번 조치로 암호화폐를 어떻게 든 처분해야 합니다.

중국의 금지는 시작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중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들이 자국 법정통화에 위협이 되는 암호화폐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중국의 이 같은 암호화폐 금지 정책이 미국에는 기회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실제 미국의 팻 투미 공화당 상원의원은 중국의 반암호화폐 선언은 미국에게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암호화폐 채굴이나 블록체인 기술, 그리고 디지털 화폐 개발 측면에서 미국이 앞서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앵커 ▶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 시장이 긴장하고 있는데요.

## 광고 ##한국에서도 관심이 많은데.

미국에서는 이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 손재권 / 더밀크 대표 ▶

네 헝다그룹의 파산 임박에 미국의 금융 당국과 투자자들도 긴장하고 있는데요.

지난 23일 위안화 채권 이자 지급을 협상을 통해 해결하며 한고비 넘기는 듯했지만, 이날 달러 표시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며 디폴트 우려는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

미 증시는 지난주 연방준비제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에 안도 랠리를 보였지만 중국 헝다 사태 영향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한 가운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07% 올랐고 S&P500지수는 0.15% 상승지만 나스닥 지수는 0.03% 떨어졌습니다.

월가에서는 헝다 사태가 글로벌 경제나 시스템에 타격을 주는 체계적 위험으로는 발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헝다 사태가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투자등급 채권시장은 비교적 잠잠하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상황입니다.

채권 시장 전체가 무너지는 그림은 나오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중국의 이 문제가 부동산에 국한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는데요.

중국 내에서도 부동산 시장은 확연히 무너지고 있지만 주식시장 지수 자체는 역시 견고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번 사태가 전체 중국 경제, 그리고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을 계속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유럽연합이 이르면 2024년부터 모바일 기기 충전방식을 USB-C 케이블로 통일한다는 법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애플의 아이폰은 C타입이 아니지 않습니까?

◀ 손재권 / 더밀크 대표 ▶

네. 지금 애플 아이폰을 갖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가튼데요.

애플 아이폰은 라이트닝 단자라고 전용 충전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의 EU에서 행정부 역할을 하는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가 지난 23일USB-C를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표준 방식으로 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제안했습니다.

내년 중 관련 법안을 확정하고 1년 간의 유예기간을 거친 뒤 2024년부터 본격 적용한다는 방침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