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한미 정상회담…백신 수급 숨통 트일까

  • 3년 전
막오른 한미 정상회담…백신 수급 숨통 트일까
[뉴스리뷰]

[앵커]

정부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상당량의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죠.

양국 정부가 백신 지원 물량에 대한 큰 틀을 논의하면서, 기업 간 개별계약도 함께 협상이 진행 중인데요.

우리 정부가 백신을 먼저 지원받고 나중에 갚는 '스와프' 방식도 논의 중입니다.

이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중 하나는 코로나19 백신 물량 확보입니다.

전 세계 백신 공급량이 백신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백신이 제때 들어오지 못하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현재까지 확보한 백신은 총 9,900만 명분(1억9,800만 회분).

이달 들어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조금씩 들어오고 있지만, 모더나와 노바백스 등 백신은 아직 정확한 공급 일정이 잡히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미보건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에서 협력 증진 방안을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있도록 하고 돌아오겠습니다."

백신 물량 확보뿐 아니라 '백신 스와프'가 성사될지 여부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미국에 화이자나 모더나 등 백신을 우선 빌려서 접종하고 나중에 한국이 받을 물량을 미국에 돌려주는 방식입니다.

국내 위탁생산 여부도 관심 대상입니다.

미국이 개발한 백신을 한국에서 위탁생산한 뒤 한국은 물론 아시아를 비롯한 다른 나라가 이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의 위탁생산 계약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백신 물량확보와 국내 위탁생산까지 이뤄져, 전 국민의 집단면역 형성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 (jinu@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