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큐브] 신규확진 473명, 비수도권 40% 육박…4차 유행 우려

  • 3년 전
[뉴스큐브] 신규확진 473명, 비수도권 40% 육박…4차 유행 우려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 중인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30일 이후 엿새 만에 400명대로 떨어졌습니다.

다만 모든 일상 공간에서 전파가 계속되는 만큼,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두 분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김민하 시사평론가 어서 오세요.

신규 확진자가 473명 늘었습니다. 엿새 만에 400명대로 떨어졌지만, 검사 건수가 적은 휴일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죠?

8개 시도에서 감염자가 나온 자매교회 순회모임과 관련해서는 41명이 추가돼 누적 확진자가 71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들은 '치유은사'라는 이름의 종교의식을 해왔는데, 이는 교인 간 신체접촉이 잦고 큰 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이런 부분이 감염을 키웠다고 볼 수 있을까요?

4차 유행 우려가 커지면서 어제 당국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국민적 방역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권덕철 차장은 짧은 시간 내 하루 천 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 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는데요. 4차 유행이냐, 아니냐 갈림길에서 이를 가를 위험요소로 무엇을 꼽을 수 있을까요?

실제로 각종 지표도 악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1주간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2.5단계 범위에 있고,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감염 재생산지수 역시 1을 넘었는데요. 더 악화하면 환자 대응과 접종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 아닙니까?

당국은 현재의 상황을 대유행이 본격화되기 직전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판단했습니다.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방역 조치를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데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도 필요하다고 보세요?

오늘부터 모든 다중이용시설 관리자·종사자·이용자의 기본방역수칙 위반 사례에 대해 과태료 부과 등 처벌이 강화됩니다. 수칙 개수만 늘어난 게 아니라 기존 수칙의 내용도 강화됐는데요.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실효성은 있다고 보세요?

정부가 백신 접종 속도전에 나섰지만,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급 불안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당초 검토 대상이 아니었던 중국, 러시아 백신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